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운영체제 무결성을 지원하는 보안 모바일 프레임워크

전문가 제언

우리나라는 인터넷과 스마트폰을 비롯한 모바일기기들이 급속도로 확산되면서 기업들도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종업원들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원격에서 업무처리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일부 기업들은 종업원들에게 기업에 특화된 모바일기기들을 맞춤 제작하여 제공하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은 BYOD(Bring Your Own Device) 개념으로 개인이 소유한 모바일기기들을 네트워크에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환경에서는 모바일기기들의 특성이 다양하므로 기업이 통상적인 인증방식이나 액세스 통제를 그대로 적용하면 여러 가지 보안 위협에 노출될 수 있다. 특히 종업원의 모바일기기가 분실되거나 도난당했을 때 또는 퇴직자가 원래의 허가되지 않은 서비스를 사용하고 기업의 정보를 악용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또한 실수나 태만으로 종업원의 모바일기기에 탈옥(jailbreak)과 같은 잠금장치를 해제하는 악성코드가 탑재되어 해커나 비인가자가 기업의 정보시스템에 접속하고 사이버테러와 같은 악의적인 위협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종업원이나 허가된 사용자가 모바일기기를 사용하여 기업의 정보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활용하기 위해서 기업의 보안정책에 따른 보안 모바일 프레임워크를 개발하고 이에 따른 응용 앱을 모바일기기에 설치하여 효율성이 높고 보안이 강화된 사용자 인증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모바일기기에서 사용하는 운영체제의 무결성을 검사할 수 있는 기능을 탑재하여 악성코드를 탐지하고 시스템의 효율성을 높이도록 하였다.

 

이러한 보안기술은 기업이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를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모바일기기 사용자들에게 확대하면서도 보안 위협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으로 판단된다. 특히 모바일기기들의 분실이나 탈취된 경우에도 원격에서 중요정보를 삭제하거나 잠금장치를 설치하여 기업의 민감 정보를 보호할 수 있으므로 스마트폰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현시점에서 기업들이 활용할 수 있는 좋은 보안대책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저자
GOLDMAN, SACHS & CO.
자료유형
니즈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15
권(호)
WO20150187716
잡지명
PCT 특허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50
분석자
남*현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