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핵산 거대분자에 기초한 의약품 개발 시 고려할 사항들

전문가 제언

핵산 거대분자(NAMs)(DNA, mRNA)를 이용한 단백질 발현 치료법은 엄청난 잠재력 때문에 큰 관심을 끌고 있다. 그렇지만 완제품을 제조하기까지는 넘어야할 장벽이 많다. 약품의 안정성, 합리적인 저장기간, 생체내 목적지까지 운송, 발현효율, 면역원성 문제 등등의 도전들을 해결해야한다.

 

온도는 안정성에 영향을 주는 주요인자이다. 온도가 상승하면 DNA의 초나선 구조가 선형이나 열린 원형으로 바뀌고, UV흡광도가 증가한다. 화학적 탈 퓨린화와 β-제거반응에 의해 초나선이 열린원으로 바뀐다. 약물 분무 때, 동결건조 때에도 초나선의 함량이 감소한다. 금속이온의 존재와 활성산소종 및 방사선도 NAM의 분해를 일으킨다.

 

NAMs의 제제 안정화를 위해서 NAM의 성질과 주위환경을 심사숙고하여 첨가제를 적당히 선택하면 성공적인 제제를 만들 수 있다. NAMspH 7 근방에서 안정하고 완충제는 Tri-HCl과 인산염 완충제가 DNA 용액에 흔히 사용된다. NaCl과 같은 불활성 전해질을 써서 이온강도를 높이면 DNA의 안정도가 증가한다. 항산화제와 자유라디칼 청소제를 첨가하면 DNA의 절단을 억제할 수 있다. 킬레이트제, 알킬제, maltol, octylgallate 등등의 첨가제도 DNA의 안정도를 증진시킨다.

 

NAM의 전신 수송 시에는 세포바깥 핵산분해효소가 NAM을 분해하고 in vivo에서 NAM 복합체의 응집이 관찰되므로 양전하와 음전하의 비를 최소로 하여야 한다. NAM의 세포흡수는 트랜스펙션에 대한 상당한 장벽이다. 양이온성 PEG를 플라스미드-지방 입자에 결합시켰을 때 입자의 흡수가 50배 증가하였다.

 

유전자치료법은 1990년대에 처음 시작되었고 그 후 20여년 지난 오늘날에도 초보단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그 만큼 어렵다는 것을 뜻한다. 근래에 국내에서도 일부대학에서 이 분야의 연구 성과를 올리고 있고, 여러 제약회사에서도 유전자 치료제의 개발에 주력하고 있으며 일부 제품은 임상실험 중에 있다. 유전자 치료법은 매우 유망한 분야이고, 시장도 앞으로 확장될 것으로 예상된다.

 

저자
Bilikallahalli K. Muralidhara,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6
권(호)
21(3)
잡지명
Drug Discovery Today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430~444
분석자
서*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