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세포 암 유전체학의 과거 및 미래
- 전문가 제언
-
○ 이 논문에서는 단세포 염기서열결정(SCS) 기술의 발전 및 기술적 그리고 임상 적용에 필요한 여러 가지 문제점과 신약 개발에의 이용성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SCS는 암의 진화와 다양성을 연구하고 종양 진행에서 희귀세포들의 역할을 이해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이다. 이 방법은 많은 종양들을 상대로 알기 어려웠던 암 생물학의 많은 의문점들을 밝혀주고 있다. 앞으로 SCS는 암 진행 과정 중 암세포의 침입, 전이, 그리고 치료저항에 대한 이해를 크게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 SCS는 직접적으로 암 조기 발견, 진행과정 감시 그리고 표적 치료 같은 분야에서 임상에 직접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의 연구결과 많은 초기 종양과 혈액악성종양에서 클론의 진화가 일어나고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 많은 암세포들이 화학요법이나 표적 치료제에 처음에는 반응을 보이지만 대부분의 암세포가 결국 저항성을 발전시키며 종종 더 이상의 치료제를 선택할 수 없는 결과를 초래한다. 종양이 화학요법에 저항성을 일으키는 과정은 아직도 거의 알려지지 않고 있다.
○ 저항성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은 종양 덩어리에 이미 있던 소수의 세포집단이 화학요법 후에 살아남아 적응한 것인지(적응 저항성) 아니면 치료제가 저항성 표현형을 가지는 새로운 돌연변이 세대를 유도한 것인지(획득 저항성)가 주요 의문점으로 남아있다.
○ SCS방법은 면역요법에서 만일 증가된 유전체적 다양성을 가진 종양이 보다 면역발생적이고 보다 새로운 면역 치료제에 감수성이면 종양 내 이종성을 이해하는데 중요하게 적용될 것으로 생각된다.
○ 해외연구 동향은 직접적인 항암제 개발연구와 함께 암 발생 및 진행, 전이 등에 관련된 유전체적 연구를 통해 항암제를 개발하려고 시도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M사를 비롯한 벤처회사들에서 유전체 분석을 통해 암 발생 원인 구명 및 치료제 개발을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 저자
- Nicholas E.Navin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5
- 권(호)
- 25()
- 잡지명
- Genome research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1499~1507
- 분석자
- 김*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