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자생물학에 의한 식물 유래 약품 생산
- 전문가 제언
-
○ 바이러스 유사입자(VLPs)는 바이러스처럼 보이지만 감염성이 있는 유전물질을 가지고 있지 않아 일반 바이러스와 다르다. 그러나 이들은 이상적인 백신 후보가 될 수 있는 매우 잠재력 있는 면역반응을 이끌어낼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일시적으로 발현되는 식물 유래 VLPs 분야의 가장 최근의 발전과 서로 다른 식물 발현 방법에 대해 고찰하고 있다.
○ 백신은 기본적으로 면역원성(immunogenecity)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질병을 일으키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잠재성 있는 안전한 접근방법은 병원성이 없으며 원래 바이러스가 가지고 있는 면역학적 특성을 가지는 합성백신을 만드는 것이다. 따라서 VLPs가 이런 합성백신용으로 뛰어난 후보이며 어떤 VLPs는 잠재적 약물전달 운반체로 연구되고 있으며 그리고 생물의학 목적으로도 이용되고 있다.
○ 어떠한 약품 성분 생산 시스템도 특히 백신의 경우는 갑작스런 수요 증가에 빨리 대처할 수 있어야 하는데 식물의 일시적 발현 시스템은 낮은 생산원가로 빨리 적응할 수 있어서 매우 효과적이다.
○ 20여 년 전 식물 조직에서 발현되는 재조합 단백질로 직접 이용될 수 있는 경구용 백신이 크게 각광을 받은 적이 있으나 지금은 약량(dose)과 품질 관리의 어려움 때문에 크게 이용되지 않고 있다. 완전한 바이러스 운반체는 야생형 바이러스처럼 기주 내에서 움직이며 비상동적 단백질을 발현할 수 있으며 전염성 있는 바이러스 입자를 만들어낸다. 그러나 복제 과정에서 삽입된 유전자가 돌연변이를 일으키거나 결실(deletion)될 수 있어서 같은 세포에서 몇 개의 유전자를 발현시키는 것은 매우 어렵다.
○ 외국에서는 이미 오래전부터 VLPs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기업체 부설 M 생명공학연구소 주관으로 효모 유전체를 이용한 VLPs 생산에 관한 연구결과를 이미 발표한바 있으며 학계 및 산업계에서 상품화를 목표로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 저자
- Johanna Marsian and George P Lomonossoff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6
- 권(호)
- 37()
- 잡지명
- Current Opinion in Biotechn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201~206
- 분석자
- 김*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