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온영역에서의 압력 측정
- 전문가 제언
-
○ 엔진 내부나 해저, 탄광이나 유전 등과 같은 채굴현장은 접근이 불가능하거나 고온이어서 압력 등 현장의 물리적 조건을 정확히 측정하기가 어려운 경우가 많이 있다. 또한 고온에 견딜 수 있는 전자회로들은 일반적으로 고가이어서 측정현장에는 될 수 있으면 꼭 필요한 센서만 위치시키고 정보를 분석하는 장비는 특별한 보호 장치가 필요 없는 실온영역에 위치시키는 것이 유리하다.
○ 2014년에도 제조시설 내부 등 접근이 어려운 고온영역에서의 압력이나 습도 등을 원격으로 측정하려는 장치가 출원된 바 있으나(2014년의 EP 2 706 336) 원격측정 거리가 비교적 제한적이었다. 그러나 본 특허에서는 10,000feet를 초과하는 원거리에서도 정확히 압력을 측정할 수 있어 본 특허가 실용화될 경우 여러 산업 현장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특허 내용에 측정 및 압력계산을 위한 자세한 절차들이 기술되어 있어 사용이 용이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 본 특허는 청구범위를 포괄적으로 설정하지 않고 본 특허의 도면에 기술된 구조에 한하여 한정적으로 기술하고 있어 앞으로 이 기술을 활용하여 개선된 특허를 개발할 수도 있으리라고 기대된다. 특히 개선의 가능성이 있는 부분으로는 고온영역과 실온영역 부분을 도선으로 연결하지 않고 광섬유를 이용하여 온도차에 의한 영향을 극소화하거나 아예 도선을 제거하고 무선에 의한 신호전달을 시도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경우 원격측정의 거리를 크게 늘릴 수 있을 것이다.
○ 국내 센서시장은 2012년 54억 달러 규모에서 2020년 99억 달러 규모로 연평균 10.4% 성장할 전망이나 국내기업의 내수시장 점유율은 10.5% 수준으로 매우 낮고 기술수준은 선진국 대비 65% 수준에 불과한 실정이다. 특히 공업용 센서의 경우 대부분이 외국산으로 국내 제조업체들의 점유율은 미미하다. 그러나 이에 반하여 국내 전자회사들의 IoT 센서 기술은 세계적인 수준이어서 이를 공업용 범용센서 등에 적용할 경우 압력센서 등 공업용 센서에서 현재 존재하는 기술격차를 쉽게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저자
- ROSEMOUNT, INC.
- 자료유형
- 니즈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16
- 권(호)
- WO20160053631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21
- 분석자
- 김*구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