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기 광전기기를 위한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봉지소재
- 전문가 제언
-
○ 플렉시블 광전기기의 신뢰성과 내구성을 보장하는 봉지기술은 다층박막의 형태로 진보되고 있다. 주로 금속이나 세라믹과 같은 무기물과 이들의 결함을 완화시킬 수 있는 고분자 층이 교대로 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 분석물의 내용도 그 중의 하나이다.
○ 여기서는 무기물로 비정질 질화규소, 유기물로 PMMA를 사용하여 OLED에서 요구하는 투습도를 만족시키고 있다. 그러나 제조과정이 단순해 보이지는 않는다. 열선-CVD로 질화규소를 기질에 증착시키고, 그 위에 다시 PMMA를 스핀코팅하는 방식이다. 연속공정으로 가기가 쉬워 보이지는 않는다.
○ 최근 봉지기술개발의 일환으로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다층 필름에 대한 연구보고와 특허등록이 눈에 많이 띈다. 많은 과학기술자들이 봉지기술의 해결점이 여기에 있다고 믿고 있다. 유기와 무기재료의 적절한 선택에 의한 효능향상과 이 두 재료를 조합하는 기술의 경제성이 종국적으로 성패를 좌우할 것으로 예상된다.
○ 봉지기술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광전기기와 관련된 연구개발 중에서는 다소 활성화가 덜된 분야가 아닌가 생각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각에서 상당한 성과를 내고 있다. 2015년에 발표된 포항공대(신소재공학부 이태우 교수, 박사과정 박민호씨 연구 팀)의 결과물이 그것이다.
○ 이는 얇은 금속박과 탄성 고분자막의 이중층을 이용한 라미네이션 방식을 응용한 것으로, 기존 봉지 기술의 신뢰성, 유기전자 소자 특성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도 동시에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롤투롤 대량생산 공정에 직접 적용 가능한 플렉시블 봉지 기술이라고 한다.
○ 비록 그러하다 하더라도 주변의 연구개발을 벤치마킹할 필요성은 간과할 수 없다. 이 분석물이 향후 관련기술의 진보에 다소라도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 저자
- Subimal Majee,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5
- 권(호)
- 80()
- 잡지명
- Progress in Organic Coating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27~32
- 분석자
- 최*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