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한 내구성 특성을 가진 타이어 트레드 제조방법
- 전문가 제언
-
○ 타이어 회전저항(tire rolling resistance)을 낮추거나 내구성을 높이는 것이 온실가스의 배출량비율이 저감되기 때문에 타이어 트레드부분(tread portion)의 젖은 스키드의 안정성은 물론, 특별히 내구성을 요구하여 여러 가지 충전제를 채용한다. 충전제로 실리카는 고무에 실리카를 화학적으로 짝지음하는 실리카 짝지음물질을 조합하여 내구성 강화제로 사용한다. 점탄성 특성과 젖은 그립시의 고주파수 제어가 필요하여 고무재료의 개량, 나노기술을 접목한 고무재료개발이 필요하다.
○ 고무재료 Nd-PBR(neodynium polybutadiene rubber)와 SSRB(solution styrene butadiene rubber)는 우수한 탄력성, 낮은 마모 및 회전저항, 우수한 도로 접지력과 젖은 노면위의 핸들링 성능향상 때문에 트레드부분의 사이드월부분에 많이 사용된다. 자동차분야의 발전과 함께 타이어 트레드부분에 사용하는 에너지 소비율이 낮고, 마모가 적으면서도 안전한 친환경 타이어 고무원료에 대한 연구개발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 발명은 타이어 트레드(tire treads)의 제조에 사용되는 가황처리 조성의 제조를 위한 새로운 혼합공정으로 강염기와 니코틴아미드의 존재 하에서 고무, 실리카 및 실리카 짝지음 물질을 혼합하여 마스터배치를 만들고 이후 마스터배치에 경화제를 도입하여 타이어 트레드제조를 제조하였다. 강염기와 니코틴아미드를 다량 사용하여 경화성에 나쁜 영향을 주지 않고 특별한 내구성을 제공하여 국내 관련업계의 관심의 대상이 될 수 있다.
○ 특허기술의 핵심은 강염기와 니코틴아미드의 존재 하에서 고무, 실리카 및 실리카 짝지음 물질을 혼합하는 기술 이후 경화제를 도입하여 타이어 트레드제조에 사용되는 가황처리 조성과 조성의 혼합기술로서 특허범위는 매우 제한적이다. 우리나라에서도 고무재료의 선택과 다양한 첨가물 중에서 특허와 저촉되지 않는 첨가제의 조성과 새로운 물질을 이용하여 특별한 내구성의 타이어 트레드조성물과 혼합기술의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 저자
- BRIDGESTONE AMERICAS TIRE OPERATION LLC.,
- 자료유형
- 니즈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6
- 권(호)
- WO20160032662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25
- 분석자
- 김*원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