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우라늄 장전량을 높인 사고저항성 핵연료 복합체 개발

전문가 제언

20113월 일본의 후쿠시마 다이이치 원자력발전소 사고 이후 현재 경수로에 사용되고 있는 UO2-Zircaloy 핵연료 시스템에 비하여 사고 저항성을 획기적으로 강화시키는 기술개발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며 관련 연구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새로운 핵연료 개념 중의 하나로 고밀도 핵연료에 대한 관심이 매우 증대되고 있다.

 

논문에서 소개된 내용은 웨스팅하우스에서 사고저항성을 개선하기 위해 검토한 내용이다. 열전도율이 불량한 UO2를 높은 열전도율을 가지는 UN U3Si2으로 교체하여 복합체를 만들며 우라늄 양도 늘리고 낮은 농축도에서도 동일한 출력을 가질 수 있는 연료의 제조 가능성을 평가한 내역을 기술한 내용이다. 이 기술은 제 3세대 플러스 및 차세대 원자로에 활용할 수 있는 연료 분말의 설계특성과 복합체 연료의 제조방안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원자력 선진국들의 사고저항성 핵연료 개발에 대한 특이할만한 핵연료 연구는 미국, 프랑스, 일본, 중국, 유럽연합, 및 영국 등의 국제협동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산업체를 살펴보면, AREVA는 도판트를 첨가한 소결체의 열전도도 향상연구 등, GEF/M강 합금피복관 개발, 웨스팅하우스의 SiC복합체 및 고밀도/열전도도 향상된 소결체 개발연구 등이 진행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한국 원자력연구원을 중심으로 UO2 소결체 내에 벌집 형태의 금속 미소셀을 연속적으로 배치한 신개념의 핵연료, SiC복합 소결체/재료 피복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외에도 한전 원자력연료의 SiC 기반 펠릿 연구 등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중요성으로 볼 때 차세대핵연료 제조관련 연구개발과 개발될 차세대 핵연료의 설계 검증시험을 위하여 국가중점시설인 연구로 [하나로]의 조사시험 능력 확대 연구도 함께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저자
Luis H. Ortega, Brandon J. Blamer, Jordan A. Evans, Sean M. McDeavitt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6
권(호)
471()
잡지명
Journal of Nuclear Materials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116~121
분석자
강*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