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리올레핀 기반의 핫멜트 접착제
- 전문가 제언
-
○ 핫멜트 접착제의 요구 특성은 최근 대두되고 있는 환경과 위생에 관한 요구사항들을 충족시킬 수 있어야 한다. 본 특허의 핫멜트 접착제는 물이나 용매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접착시킬 수 있는 방법이다. 원래 핫멜트 접착제는 1960년대 미국에서 개발된 EVA를 실용화하면서 급신장하였다. 국내에서는 1970년대 도입되어 1980년대에 각종 신산업분야에 다양하게 응용되면서 시장 규모가 큰 폭으로 확대되어 성장하고 있다.
○ 앞으로 각종 핫멜트 접착제는 더 많은 원료와 부가 재료의 개발로 더욱 더 성장하여 증대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특허의 청구범위와 관련하여 국내에 미치는 영향은 아직은 구체적으로 나타나고 있지 않으나 더 다양한 핫멜트의 접착제 재료들이 요구될 때에는 폴리올레핀을 기초로 한 핫멜트 접착제가 필요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이에 대응할 수 있는 대책으로 새로운 핫멜트 접착기술이 필요하다.
○ 접착 강도나 내열성이 특별히 필요치 않은 일반용도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EVA 핫멜트 접착제는 각종 제품에 따라 에틸렌과 비닐아세테이트 함량(4~40wt%)을 조절하여 공급되고 있으며, 아세테이트의 성분이 많을수록 접착성이 좋아지며 용융점도는 낮아진다. 한편, EVA 중에 비닐아세테이트의 함량이 많으면 고무와 같은 성질이 기능을 발휘하여 금속들과의 접착성이 좋아질 수 있다.
○ 핫멜트 접착제의 기술개발은 EVA,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고무 등을 주원료로 사용하고, 로진, 에스테르 검, 테르펜, 쿠마론 수지 등을 사용하여 왁스(파라핀, 마이크로크리스탈린), 가소제(DBP, 염화디페닐, 염화파라핀), 충전제(탄산칼슘, 탈크, 카올린), 산화방지제(파라알킬페놀류) 등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금후 내열성이 향상된 기능성 핫멜트 접착제의 개발은 기본적인 화학원리를 이해하고 새로운 기능성 접착성 재료들을 이용해서 고기능성 핫멜트 접착제의 다품종 소량생산 시스템으로 전환해 간다면 국내에서도 경쟁력을 가진 시장으로 진입할 수 있을 것이다.
- 저자
- BOSTIK INC.
- 자료유형
- 니즈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6
- 권(호)
- WO20160061123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34
- 분석자
- 성*길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