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소형물 5면 가공에 적합한 수직 밀링머신

전문가 제언

높이가 500mm 이하의 공작물 가공을 주로 하는 경우 Cross rail 고정문형 가공기가 기능, 코스트 면에서 최적한 선택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가공기로는 기계 강성이 부족하여 램의 돌출했을 때의 절삭 능력이 불충분 하였다. 이번에 개발한 일본 MHICross rail 고정문형 가공기 M-VB25는 강성이 좋고 강건한 문형 구조로 되어 있어 램의 큰 돌출 양에서도 높은 절삭능력을 발휘한다. 또한, 조작성의 향상, 보전 기능을 강화한 오리지널 조작반과 화면의 채택으로 에너지 절감 규제에 맞춰 CO2 배출량 삭감도 기할 수 있는 최신 기계이다.

 

문형 가공기가 갖추어야 할 점으로는 이러한 것들이 있다.Cross rail 구조는 문형 가공기의 가공 정밀도를 결정짓는 주요 구조물이다. 이의 처짐과 비틀림은 가공 정밀도를 떨어뜨림으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아치형 기계 구조로 설계하여 장시간의 어떠한 가공 조건에서도 안정된 가공 정밀도를 유지토록하고 있다. 칼럼(column)은 구조 해석을 통해 설계되며 넓은 지지 간격으로 굽힘 강성을 증대하여 장시간 가동에도 지세변화가 최소화 되도록 설계한다. 새들 및 스핀들은 돌출 가공시 어느 방향에서도 변형이 최소화된 최적 조건을 유지해야 한다.

 

한국공작기계산업협회가 주관하여 2016.4.1317 KITEX에서 열린 17회 서울국제생산제조기술전(SIMTOS 2016)"의 주요 출품 동향을 보면 제조업에 IT를 융합한 공작기계를 중심으로 스마트공장 제조 솔루션, 사물인터넷, 친환경, 에너지 절감, 생산성 향상을 위한 고출력 레이저 가공, 지능형 장비의 지화를 촉진하는 부품, 소재 난삭재 등 첨단 소재 가공을 위한 공구 등의 출품이 대세를 이루었다. 그 가운데 머시닝센터 관련 두산인프라코어, 현대위아, 화천기계 등은 국내 설비투자 부진과 세계 공작기계 수요 감소로 실적이 부진한 편이다.

 

세계 공작기계 시장동향은 스마트 공장을 중심으로 한 ICT 융합형 공장, 로봇 시스템 자율형 공장, 자동차, 우주항공 분야의 난삭재 가공을 위한 툴링 시스템 개발 등으로 모아지고 있다. 우리나라 공작기계 산업부문도 옛날의 선두주자 위치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스마트 공장을 중심으로 한 연구개발에 산학연 모두가 박차를 가해야 되리라고 본다.

 

저자
Yasuhisa Ichikawa, Tkayuki Kume, Hiroyuki Tauchi, Aihiko Matsumura, Hiroshi Oishi, Keiichi Noriyama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정밀기계
연도
2015
권(호)
52(3)
잡지명
三菱重工技報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밀기계
페이지
30~34
분석자
심*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