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족에 의해 개질된 로진 수지 점착부여제
- 전문가 제언
-
○ 접착제에 요구되는 조건은 사용 온도에서 항상 균일하게 분사되어야 한다. 접착제 조성에 포함된 메탈로센 촉매 중합에 의한 고분자는 비메탈로센 촉매로 중합된 고분자보다 분자량 분포가 보다 좁기 때문에 분무성이 우수하지만 점도가 높은 단점이 있다. 접착제의 점성이 높게 되면, 전형적인 사용 온도에서의 분무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 접착제에 많은 양의 점착부여제(tackifier)나 오일이 첨가된다. 그러나 이러한 첨가제는 접착제가 숙성되는 과정에서 접착제의 성능저하를 초래한다.
○ 점착부여제는 접착제의 점착물성의 균형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하는 물질로서 로진계, 테르펜계 및 탄화수소계로 크게 분류된다. 그러나 로진 에스테르 점착부여제는 메탈로센 폴리올레핀이나 다른 지방족 기반 고분자와의 상용성이 떨어져 혼합하는 경우에는 불투명한 백색으로 되고, 미세한 상분리가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 이 발명은 종래의 로진 에스테르가 메탈로센 폴리올레핀(또는 다른 지방족 기반 고분자)과의 혼화성이 불량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지방족 탄화수소를 첨가하여 개질함으로써 메탈로센 폴리올레핀 기반 접착제 조성물의 점착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용융점도가 낮은 점착부여제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특허청구범위를 보면, 기존의 로진 에스테르를 지방족 탄화수소에 의해 개질함으로 메탈로센 폴리올레핀과의 상용성을 향상시키는 점이 중요한 요점이다. 이 특허를 참고하기 위해서는 이와 같은 점에 유의해야 할 필요가 있다.
○ 핫멜트 접착제의 경우, 국내에서는 대부분 EVA계열 핫멜트 생산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국내 핫멜트 접착제 제조업체로는 헨켈테크놀로지, 오공본드, MCS 3사가 주요 메이커이며, 이외에 다수의 중소기업이 참여하고 있다. 향후 핫멜트 접착제는 무공해라는 점에서 용도가 크게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가열에 의한 도포작업의 최대 결점인 내열성 및 내크리프성의 개량이 큰 과제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고분자나 점착부여제의 개발, 도포 후에 반응에 의한 경화로 열에 대해 비가역적인 접착제의 개발 등 다양한 부문에서의 기술혁신이 요구된다.
- 저자
- MeadWestvaco Corporation
- 자료유형
- 니즈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6
- 권(호)
- US20160060495
- 잡지명
- US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10
- 분석자
- 황*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