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마그네슘합금 표면의 화성피막 형성기술

전문가 제언

최근 일본에서는 AZ91D 합금에 대하여 인산계의 화성처리를 기본으로, 알칼리토류 금속성분 가운데 마그네슘, 칼슘, 스트론티움, 바륨을 첨가하여 사용되고 있다. 본고는 AZ91D 합금의 인산계 화성처리 피막구조, 피막조성 및 내식성을 조사한 자료이다. 이러한 AZ91D 합금의 인산계 화성처리 피막에 관한 연구는 향후 국내관련 기업체에서 마그네슘 합금에 대한 화성처리 기술의 확립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마그네슘합금은 상용 금속들 중에서 가장 화학적 활성이 커서 표면처리 후 내식성 확보가 필수적이다. 기존의 마그네슘합금의 표면처리 방법은 주로 AZ91D의 다이캐스팅재에 집중되어 있다. 향후의 화성처리 공정연구에 있어서는 AZ31, AZ61, AZ91D , 합금의 전위차에 따른 화성피막의 특성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포스코는 차체 경량화에 필요한 마그네슘 판재 개발 및 수요 창출에 주력하고 있다. 이에 대한 일환으로 최근 마그네슘 판재는 르노삼성의 뉴 SM7 노바에 적용하였으며 최신형 차량 포르쉐지붕에도 탑재하였다. 이 마그네슘 소재의 무게는 강철의 25%에 불과하지만 강도는 더 단단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시점에 국내 마그네슘합금의 표면처리 기술, 특히 화성처리 기술의 확립은 시급하다고 볼 수 있다.

 

국내 마그네슘합금의 화성처리 관련 기업체에서 6가 크롬을 사용하지 않는 환경친화적인 화성처리 방법의 개발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또한 안전의 측면, 리사이클링, 제조비용 및 공정이 단순해야 한다. 특히 우수한 화성처리 피막형성의 최적조건 즉, 화성처리 용액조건, pH, 온도 및 화성처리 시간의 영향을 조사 연구하는 것이 대단히 중요하다.

 

현재 국내에서는 2005년 목포 해양대에서는 AZ91D합금의 부식 특성에 미치는 화성처리 용액조건, pH, 온도 및 화성처리 시간의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2016년 한국생산기술연구원에서는 크롬프리 세륨용액에 의한 AZ31 마그네슘합금의 화성피막의 특성 평가가 이루어졌다. 향후 인산계의 화성처리를 기본으로, 알칼리토류 금속성분을 첨가한 고품질의 새로운 화성처리기술이 국내에서도 자체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

저자
Hiroki KOGA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5
권(호)
66(3)
잡지명
表面技術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108~113
분석자
유*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