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량 애드혹 네트워크에서의 보안측면
- 전문가 제언
-
○ VANET(Vehicular Adhoc Network)은 유선기반 네트워크 없이 이동 단말기만으로 구성되는 무선지역의 특별한 통신망으로서 차량 이동체 간의 데이터 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 이는 인터넷 접근에 관련되는 응용서비스와 안전에 관련되는 응용서비스에 초점을 두고 있다.
○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안전을 유지할 수 있는 보안이 필요하며 자원에 접근을 시도하는 사용자들을 식별하기 위한 인증기능이 있어야 하고, 서로 다른 네트워크 간의 데이터를 전송할 때 침입자의 허위데이터를 탐지하고 정정할 수 있는 기능이 있어야 한다. 프라이버시 및 인증기술과 같은 다양한 기술을 사용하여 안전을 보장하여야 하며 송수신자의 데이터 비밀을 보장하고 안전하게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공개키 구조 및 공통의 속성을 지니고 그룹을 형성하는 서명이 요구된다. 그러나 인프라 구축에 대한 검토가 수반되어야 한다.
○ 국내 차량 등록대수가 2015년 기준 300만대를 상회하고 있으며 KASDI자료에 의하면 2015년 사고건수는 232,035건을 기록하고 있어 도로교통 안전에 관심이 증대하고 있다. 차량이 지능화되면서 운전자에 대한 정보, 교통, 도로정보 등이 차량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로 공유하며 도로전방에 정보전달 등으로 운전자가 충돌사고를 회피 등 안전을 기할 수 있어 VANET 연구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미국에서는 교통정보와 차량안전 서비스 제공을 위한 국가차원의 Safe-21과 같은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기관별 스마트하이웨이, VMC기술, U- Transportation기술 등의 R&D를 추진하고 있다.
○ VANET을 통한 정보전달은 개방매체를 통하여 차량의 위치 등 기밀 정보 등이 공개적으로 노출되는 위협에 놓여있으므로 이에 대한 보안이 절실히 요구된다. 보안인프라를 위해 CA(Certificate Authority)의 수를 지역별로 확대하여 차량의 ID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비밀키 사용 및 폐기절차, 키의 보관관리 및 점검체계를 마련하고 CA를 통하여 관리 수명주기 설정 관리, 그룹별 인증, 키를 기반으로 한 메시지 검증절차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정부차원의 지원 및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저자
- Navjor Kaur, Sandeep Kad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16
- 권(호)
- 78()
- 잡지명
- Procedia Computer Scienc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387~394
- 분석자
- 조*팔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