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차량 간 네트워크의 다양한 보안기술

전문가 제언
차량 애드 혹 네트워크는 이용 측면에서 폭넓은 연구개발 분야이다. 예측되는 응용서비스는 안전 앱, 정보와 오락이 합성된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등을 포함하며, 데이터를 보다 큰 규모로 공유하기 위해 거대한 이동 애드 혹 네트워크에 차량을 접속한다. 차량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의 보안은 정보의 보호 및 무결성, 익명성, 클라이언트 확인이 필수적이다.

 

차량 애드 혹 네트워크의 기본기술은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개방 미디어를 통하여 중요한 정보를 전송한다는 측면에서 보안 및 프라이버시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여기서 기술한 것처럼 통신방해, 위조공격, 재전송 공격, 도청, ID 노출 공격, 차량 추적 등의 다양한 위협에 노출되어 있다. 무엇보다도 차량에 탑재된 RSU(Roadside Units) 장치에 대한 익명성 보호와 인증, 조건부 프라이버시 제공을 위한 환경조성이 필요하. 검증된 대칭 키 및 해쉬 키 알고리즘의 키값을 차량 간의 메시지 교환따라 가변적으로 적용하여 최적의 검증모형을 도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VANET(Vehicular Ad-hoc Network)의 보안 알고리즘으로 제시된 키 분배 프로토콜 RAISE를 통한 메시지 교환방식 및 키 교환 프로토콜 방식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다양한 공격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차량과 RSU 사이의 보안성이 강화된 키 교환 프로토콜 설계가 중요하며 기존의 메시지 교환 방식과 키 교환 프로토콜의 장·단점을 비교 분석하여 안정성과 키 생성에 효율성을 제시하는 보안기법에 관한 연구가 함께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최근 23년간 미국, 유럽, 일본에서 자동차 VANET에 관련된 보안 연구프로젝트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미국은 2011년에 SAE(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를 결성하여 차량 보안 관련 프로젝틀 수행하고 있으며 유럽은 차량 보안 관련 EVITA(E-safety Vehicle Intrusion proTeceted Applications)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일본은 JSAE(Japan SAE)를 중심으로 각종 프로젝트를 민간연구소와 다각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한국은 자동차 보안 관련 기술은 아직 초기 단계 머물러 있다. 앞으로 세계수준의 보안 기술과 공개키 인증 기반 구조의 기술을 최대한 활용하여 산··연 공동으로 세계시장을 선도할 수 있도록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요구된다.

 

저자
Amandeep Singh, Sandeep Kad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16
권(호)
78()
잡지명
Procedia Computer Science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284~290
분석자
조*팔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