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철산칼륨/초음파처리가 섬유염색슬러지(Sludge)분해와 탈수성에 미치는 영향

전문가 제언

슬러지는 폐수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액상 부유물질의 침전물로 섬유염색공장에서 발생하는 섬유염색폐수 및 슬러지는 난분해성 염료와 유해 화학물질을 함유하여 심각한 환경오염문제를 발생시키고 있어 산업현장에서 슬러지의 해결방안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철산칼륨/초음파처리가 섬유염색슬러지(Sludge) 분해와 탈수성에 미치는 효과를 주제로 하여 철산칼륨/초음파처리가 섬유염색슬러지의 물리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함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결과는 철산칼륨이나 초음파처리만으로 보다는 결합된 철산칼륨/초음파처리가 슬러지플록(Floc) 구조를 파괴하는 데에 더 큰 장점을 나타냈음을 보이고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철산칼륨/초음파처리가 상승작용에 의해 슬러지가용화를 제고하였고, 668.67/L 용존 유기물에 도달하였는데 이는 철산칼륨이나 초음파처리만으로 획득된 부가적인 값보다 31.81% 더 크다라는 것이 강조되고 있다.

 

최근 산업폐수슬러지가 오염원으로 대두되면서 그 처리방안이 환경이슈로 다루어지고 있다. 섬유염색 폐수슬러지는 독성 및 유해성분으로 심각한 환경문제를 발생시키고, 생태계를 크게 위협하고 있어 섬유염색폐수슬러지처리의 해결방안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섬유염색산업에서 슬러지의 분해, 탈수를 통해 처리대상량을 적게 하는 감량화 기술이 환경규제에 대처하는 유망한 방법이 되고 있다. 이에 따라 높은 산화력과 초음파조사에 의해 슬러지를 분해, 탈수해 부피를 줄이는 결합된 철산칼륨/초음파처리기술이 주목을 받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산업폐수슬러지 발생원으로 섬유염색산업을 들 수 있다. 우리나라의 1일 산업폐수슬러지 발생량은 2015년에 8,438톤으로 추정되며, 그간 소각, 매립, 재활용이 주된 처리처분 방법이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결합된 철산칼륨/초음파처리기술에 의한 슬러지의 분해, 탈수 처리 및 감량화 처리가 재래식 방법보다 더욱 지속가능한 효율적인 방법이 되고 있어 그 기술개발의 촉진과 이에 때한 정책지원 조치가 필요하다.

저자
Xun-an Ning,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5
권(호)
162()
잡지명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81~86
분석자
장*복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