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바이오틱스의 T 세포 분극화 특성
- 전문가 제언
-
○ 프로바이오틱스의 효능과 작용 기작에 대한 대부분의 논문들은 이론적인 근거의 설명이 모호하거나 충분하지 못하였다. 더구나 아직도 기작에 관한 논문들의 결론이 “...일 가능성이 있다”는 문장으로 끝나는 경우가 허다하다. 이는 과학적 확실성을 요구하는 미생물 전공자를 당혹하게 만들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 그러나 여기에 소개하는 리뷰는 이러한 문제점을 탈피하고 있다. 이는 프로바이오틱스의 작용을 면역작용에 기반으로 하여 보다 합리적으로 설명하고 있기 때문이다. 즉 프로바이오틱스의 임상적인 효과를 돌기세포나 대식세포와 같은 항원제시 세포들과 프로바이오틱스 간의 상호작용으로 해석하려고 하고 있는 것이다.
○ 이러한 해석은 프로바이오틱스의 여러 작용기작 설명 중에서 가장 설득력이 있으며 최근 이를 보충하는 연구들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장내 항상성의 상실이 때때로 T 세포 분극화와 관련성이 있기 때문에 프로바이오틱스 세균들의 면역조절능에 대한 지식이 알레르기나 염증성 대장질환과 같은 면역매개 질환의 치료에 긴요하게 적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현재로는 많은 프로바이오틱스 균주들이 충분한 과학적 근거 없이 전적으로 제조사의 주장에 입각하여 판매되고 있는 경우가 많다. 이는 이 분야 산업 발전에 큰 장애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그러나 프로바이오틱스의 면역학적 지식이 축적됨에 따라서 크론병과 같은 다수의 염증성 질환(IBD)과 암 질환에 대한 치료 가능성을 높이고 있으며, 이들 질환의 작용기작에 대한 해석도 변화하고 있다.
○ 프로바이오틱스에 대한 연구가 진전됨에 따라서 보다 확실한 제품 관리의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제 우리나라의 프로바이오틱스 시장은 수조 원 규모에 이르고 있어 작용기작과 같은 핵심 지식의 진전에 따라서 경쟁력이 변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 저자
- Chiara Barberia, Stefania Campanaa, Claudia De Pasqualea,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5
- 권(호)
- 168()
- 잡지명
- Immunology Letter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337~342
- 분석자
- 신*오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