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치료에서 미생물총의 역할
- 전문가 제언
-
○ 장의 미생물총(microbiota)은 실제적으로 하나의 독립된 장기로의 역할을 한다. 체내에서 하나의 장기에 해당하는 무게를 가지고 몸의 항상성(homeostasis) 등에 상당한 작용을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감염과 항생제 사용 그리고 식사와 같은 환경이 변화되면 이러한 평형관계에 변화가 오게 되고 질병을 촉진하게 된다.
○ 근래 장 미생물총과 암의 역할에 관한 연구들이 계속하여 보고되고 있다. 아직까지 연구자들에 따라 암과 장 미생물총에 관한 연구 결과의 각론에서 차이가 많다. 그러나 대체적으로 양자 간에 상당한 상관관계에 대한 증거들이 새롭게 축적되고 있으며 특히 대장암과 장내 미생물총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보고들이 증가하고 있다. 소개하는 리뷰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7, 8종의 세균이 대장암의 발생 혹은 치유에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 2015년에 세계 항암제 시장의 규모는 100조 원 정도라고 Nature Reviews Drug Discovery 최근 호가 보고하였다. 인간 수명의 증가와 경제 발전으로 이러한 시장 규모는 더욱 확대될 추세이다. 또한 지금까지 개발된 항암제를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방안에 대한 연구도 증가될 전망이다. 여기 소개하는 리뷰의 요점은 기존 항암제에 더하여 미생물총의 조성을 조율하거나 효능이 있는 특정 세균을 여러 방법으로 첨가하면 기존 항암제의 단독 처방에 비하여 더 효과적인 항암작용이 나타난다는 것이다.
○ 국내에서도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가 1조 원대 이상의 큰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도 이들 프로바이오틱스에 대한 분자 수준에서의 항암 연구는 많지 않다. 프로바이오틱스 개별 균주들에 대한 항암작용 기작의 구명과 함께 미생물총의 조성 수준에서의 항암 효과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되어야 할 것이다. 미생물총과 프로바이오틱스 균주들의 암 발병 및 치료에서의 역할을 밝히는 것은 보건 문제의 해결은 물론 경제적 차원에서도 의의가 크다. 국내의 바이오산업의 진흥을 위하여 좋은 연구 분야로 평가된다.
- 저자
- Ernesto Perez-Chanona and Giorgio Trinchieri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6
- 권(호)
- 39()
- 잡지명
- Current Opinion in Immun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75~81
- 분석자
- 신*오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