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기 백색광 LED를 위한 새로운 염료-폴리머 하이브리드 포스퍼
- 전문가 제언
-
○ 포스퍼-변환 LED(phosphor-converted LED, pc-LED)의 구조는 펌핑광원인 LED와 원하는 색상을 방출하는 포스퍼로 이루어졌다. 이 pc-LED의 구조는 매우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저비용의 경제성이 매우 좋다. 펌핑광원인 LED는 근자외선∼가시광선 영역의 InGaN가 주로 사용되며 제작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근자외선 LED의 광원 출력도 많이 향상되었다.
○ 현존의 pc-LED의 약점(색 온도 및 색 연색성)을 보완하기 위해서 저자들은 유기물인 2종류의 염료와 폴리머로 구성된 하이브리드 LED를 고안?제작하여 광학적 특성을 규명하였다. 두 염료의 농도 비를 조절함으로서 색상의 조절이 가능하고 PL 양자수율이 90% 이상인 빛 전환 효율이 매우 높을 뿐만 아니라 광학적?열적으로 안정한 백색광 하이브리드 LED 디바이스를 제안하였다.
○ 하지만 OLED에 비하면 하이브리드 pc-LED에 대한 연구는 시작단계에 불과하다. SciFinder(CAS, 미국화학회) 검색엔진을 사용하여 검색한 하이브리드 LED는 단지 10편만이 영어 언어 학술지에 발표되었다. 사용한 염료로는 “Lumogen F Yellow 083”, perylene diimide계, 쿠마린 계 및 diketopyrrolopyrrole 등이다. 따라서 이 분야에 대한 연구는 선구적이므로 기술 확보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볼 수 있다.
○ 필름 형태가 아닌 나노입자의 하이브리드 형광체를 사용한 pc-LED에 대한 연구도 매우 관심이 있는 분야이다. 국내에서 염료를 피막시킨 실리카 나노입자,1 희토류 착물을 코어-셀 및 외벽-셀에 접목시킨 실리카 나노입자2 등을 사용하여 pc-LED를 제작하였다. 구형 나노입자의 장점은 입자들에 의해 펌핑광의 산란각을 확산시켜 발광체들이 좀 더 많은 UV광을 흡수하여 발광 세기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실리카에 의해 입자들의 화학적 안정성을 향상시킨다는 점이다. (1. J. Mater. Chem. C, 1, 2013, 5879, 2. J. Colloid Interface Sci. 423, 2014, 41)
- 저자
- Alberto Luridiana, GianLuca Pretta, Daniele Chiriu, Carlo Maria Carbonaro, Riccardo Corpino, Francesco Secci, Angelo Frongia, Luigi Stagi, Pier Carlo Ricci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6
- 권(호)
- 6()
- 잡지명
- RSC Advance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22111~22120
- 분석자
- 강*길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