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결제시스템
- 전문가 제언
-
○ 이 기술의 핵심은 웨어러블 기기의 송신모듈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요구 신호를 수신한 후 미리 설정된 식별자(identifier)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 기능을 실행하는 특징이 있다. 또한 암호화하여 트랜잭션 데이터를 처리하는 프로세스로 설계되어 있다. 이처럼 듀얼 모드로 인증 기능을 실행함으로써 해킹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기술적 가치가 있다. 이는 국내 모바일 결제시스템 기술 분야의 사용자 인증 및 거래처리 인증시스템에 파급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 이 기술의 핵심인 암호화된 트랜잭션 데이터의 내용(결제금액 및 발신자와 관련된 다양한 지불 데이터 등)과 대응되는 트랜잭션 요청에 따른 결제방법은 듀얼모드의 사용자 인증을 거쳐 모바일 결제 서비스에 등록되도록 설계한 점이다. 아울러 크로스 플랫폼 서비스, 인터넷전화 서비스 및 OTT 서비스 등 다양한 트랜잭션 기능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설계한 점이다. 이는 기존의 모바일 서비스 인프라를 크게 변경하지 않고 이용할 수 있어 상용화의 가치가 있다.
○ 이 기술의 핵심인 암호화된 트랜잭션 데이터는 결제금액 및 다양한 지불 데이터가 명시된 트랜잭션 요청에 따라 결제방법 등 사용자 인증정보를 웨어러블 기기의 모바일 결제 서비스에 등록할 수 있어 불법사용자의 접근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결제 서비스는 크로스 플랫폼 메시징 서비스(cross-platform messaging service), 인터넷전화(VoIP :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서비스 및 OTT(Over-the-Top) 서비스 등 다양한 트랜잭션 기능으로 구현할 수 있어 상용화의 가치가 있다.
○ IDC의 보고에 의하면, 전 세계 웨어러블 기기 출하대수는 2015년 4,560만대에서 CAGR 45.1%의 높은 성장을 지속하여 2019년에는 1억2,610만대의 대규모 시장형성을 예상하고 있다. 스마트폰의 third-party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 있는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관련 시장은 더욱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이 특허기술과 같은 사용자인증 기능을 국내 기술 분야에 벤치마킹 할 필요가 있다.
- 저자
- ZHOU, Andrew
- 자료유형
- 니즈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16
- 권(호)
- WO20160009287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60
- 분석자
- 박*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