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워치의 센서 데이터 분석 정확도 향상 기술
- 전문가 제언
-
○ 이 기술의 핵심은 스마트워치 사용자의 운동량과 관련된 센서 데이터를 보다 정확하게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외부 PDA 등과 연동하여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고 통계분석 결과를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에 전송함으로써 실시간 다중분석이 가능한 기술적 가치가 있다. 또한 내장된 메모리와 스마트폰 응용프로그램을 이용하여 API를 저장하는 방법으로 스마트폰 웹 브라우저를 통해 모션 센서와 생체 인식 센서 데이터를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생체 인식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는 상용화의 가치가 있다.
○ 이 기술의 핵심인 스마트워치의 모션 센서 및 생체 인식 센서(그림1의 120/122/124/130/132/134)들은 MCU(그림1의 140)를 통해 실시간 클록과 무선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어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로써 다중 센서의 작업 결과를 다중모드로 전환하여 생체 인식 데이터를 보다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다. 이 점은 국내 스마트워치 제조 및 플랫폼 설계분야에 커다란 파급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특히 스마트폰 앱을 이용하여 활동량에 따른 상관계수를 얻을 수 있는 점은 꼭 벤치마킹이 필요한 기술이다.
○ 스마트워치는 화면 크기의 한계, 활용할 수 있는 앱의 다양성 문제, 배터리용량 한계 등을 극복한다면 다양한 스마트폰 기능을 독자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스마트폰 대비 적은 화면 크기 및 화질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기능 및 서비스의 확대가 필요하다. 아울러 활용할 수 있는 앱의 다양성을 위해 기존 스마트폰 앱과 호환성을 갖출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배터리 용량을 획기적으로 늘릴 수 있는 저전력 칩(chip)을 개발하여 지속시간을 확대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 한국 방송통신전파진흥원의 인식조사 결과를 보면 웨어러블 기기가 대중화되기 위해서는 앞으로도 2~3년의 시간이 걸릴 것이며, 웨어러블 기기의 대중화로 인해 개인정보보호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을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이는 국내 조사대상의 82.0%, 일본은 67.5%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개인정보보호 문제를 반영한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 저자
- GOODIX TECHNOLOGY INC.
- 자료유형
- 니즈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16
- 권(호)
- WO20160007548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34
- 분석자
- 박*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