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형작약 제트에 대한 케블러 직물/고무 복합장갑의 방호성능
- 전문가 제언
-
○ 성형작약탄의 공격으로부터 특수한 장비들을 보호하기 위한 방법으로 진입하는 제트를 흩트리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왔다. 화약반응 장갑은 방호효과는 훌륭하지만 그 자체가 폭발물이기 때문에 이차피해가 있을 수 있는 단점이 있다.
○ 따라서 작은 직경의 성형작약을 사용하는 전장 환경에서 경장갑, 항공기, 항공우주 장비 등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부수적 피해가 적은 복합장갑의 사용을 고려해야 한다. 직물/고무 복합장갑은 일종의 부가장갑으로 두 장의 강철판 사이에 두 장의 직물과 한 장의 고무가 들어 있는 형태를 취한다. 이 복합장갑은 탄도학적 충돌에 대해서는 효과적이나 초고속 충돌에 대한 효과는 충분히 알려지지 않았다.
○ Nanji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의 X. Jia등은 케블러 직물/고무 복합장갑의 성형작약 방호성능을 분석할 수 있는 이론적 모델을 개발하였다. 복합장갑의 영향을 받지 않는 제트 선행부의 길이를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 세부적으로 논의하였다. 여러 가지 각도에서 성형작약 제트가 충돌할 때 복합장갑이 제트를 교란시키는 메커니즘과 제트 선행부의 길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섬광 X-선 분석을 실시하였다.
○ 케블러 직물/고무 복합장갑의 성형작약 방호에 대한 충돌각의 효과를 이론 및 실험으로 분석하였다. 제트의 충돌각은 제트의 탈출시간, 제트 선행부의 선단속도, 그리고 꼬리속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었다. 충돌각이 커질수록 선단속도는 작아지고 꼬리속도는 커졌으며 이에 따라 선행부의 길이는 줄어들었다.
○ 우리나라의 부가장갑에 대한 연구는 화약을 사용하는 반응장갑을 이용하여 대전차 탄두의 공격으로부터 장비를 방호하는 데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X. Jia 등의 케블러 직물/고무 복합장갑에 관한 연구결과는 화약반응 장갑의 이차피해가 문제가 될 수 있는 시가전이나 공중전 등에서의 방호력 향상 연구에 도움이 될 것이다.
- 저자
- X. Jia, Z.-X. Huang, X.-D. Zu, Q.-Q. Xiao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밀기계
- 연도
- 2015
- 권(호)
- 40()
- 잡지명
- Propellants, Explosives, Pyrotechnic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밀기계
- 페이지
- 945~953
- 분석자
- 송*영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