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증기(수분) 차단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 접착제
- 전문가 제언
-
○ 전자기기를 구성하는 전자소자와 금속배선들은 수분(수증기) 등의 접촉에 의한 변성 및 산화가 일어나기 쉽기 때문에 전자기기의 성능 및 사용 수명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수분 등의 물질들이 전자소자에 접촉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현재 전자기기의 패키지 및 밀봉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 폴리우레탄, 에폭시 및 아크릴 수지와 같은 일반적인 접착제 물질의 수분 차단 특성은 유기 전자기기들을 수분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보호하기에는 불충분하다.
○ 이 발명은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수분 차단성을 개선하기 위해 무수물 기능성 폴리이소부틸렌,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화합물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 구성되는 폴리우레탄-폴리이소부틸렌 하이브리드 고분자 접착제의 제법을 제공하고 있다. 한편, 특허청구권을 보면, 기존 상품화된 원료가 사용되고 있지만 수분 차단성을 높이는 수단으로 폴리우레탄 골격에 폴리이소부틸렌을 그라프트 시키는 것이 특이한 발상이며, 특히 Henkel 그룹은 국내에서도 특수 용도 접착제의 독보적인 기업이므로 이 특허를 참고할 경우에는 Henkel 그룹의 다른 접착제 관련 특허에도 유의해야 한다.
○ 근년 국내에서도 기체 및 수분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 물질에 대한 개발연구가 많이 추진되고 있다. LG화학에서는 2012년 8월에 ‘OLED 디스플레이용 수분 차단성 변성 에폭시계 다층 접착필름 소재 기술’로 신기술(NET) 인증을 받은 바 있으며, 또한 WO 2012/060621 A2(접착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자장치의 봉지방법), WO 2013/07384 A1(접착 필름) 등 다수의 세계 특허를 확보하고 있다.
○ 향후 전자기기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전자기기의 경량화, 소형화 및 박막화는 더욱 진전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OLED와 같은 전자기기의 충분한 수명 연장과 성능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소자들을 수분 및 기체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차단성이 높은 소재의 개발이 필연적이다. 또한 이에 대응한 수분 및 기체 투과도를 평가할 수 있는 측정기술의 확보도 필요하다.
- 저자
- Henkel IP & Holding GMBH, Henkel AG & Co.KGAA
- 자료유형
- 니즈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6
- 권(호)
- WO20160007157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51
- 분석자
- 황*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