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플라즈마 아크용접부에서 발생하는 용접결함에 대한 키홀의 영향

전문가 제언

조선해양, 발전설비, 화학장치 등과 같이 후판재를 사용하여 용접구주물을 제작하는 제조분야의 경우 고능률 용접법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는 키홀 플라즈마 아크용접에 있어서 키홀의 거동을 제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키홀 플라즈마 아크용접에서 키홀 출구 편차거리는 용융지의 열적 상태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용융지에 형성된 키홀의 안정성을 반영한다. 즉 키홀 출구 편차거리가 너무 커지면 용접부의 표면은 거칠어지고 용접금속 내부에 기공이 쉽게 발생하게 되며, 키홀 출구 편차거리가 좁아지면 용융지에서 충돌이 쉽게 일어나고 용락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키홀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용접조건의 도출하여 최적의 키홀 출구 편차거리를 유지해 주는 것이 필요하다.

 

키홀 플라즈마 아크용접 공정에서 펄스전류를 사용하면 용접입열량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비펄스형 용접전류를 사용하는 것에 비해 용접변형량을 줄일 수 있고 미세한 금속조직을 갖는 용접금속을 얻을 수 있게 된다. 특히 후판의 아크용접에서는 판두께가 두꺼워질수록 용융금속의 단면적이 커지기 때문에 키홀 플라즈마 아크용접법에 펄스전류를 이용하여 용융금속의 중력과 표면장력의 균형을 유지해 주는 것이 효과적이다.

 

우리나라의 조선해양, 발전에너지설비, 항공우주 산업 등 고부가가치 중화학 설비의 키홀 플라즈마 아크용접부에서 용락, 비드패임, 기공 등의 용접결함을 방지하고 우수한 용접품질을 확보하며 특히 후판재 강구조물의 용접시공을 이해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하는데 있어서 매우 유용한 자료인 할 수 있도록 플라즈마 아크용접부에서 발생하는 용접결함에 대한 키홀의 영향전문을 URL에 접속하여 입수하고 최적의 키홀 플라즈마 아크용접 시공조건을 선정하는 업무수행에 활용할 것을 권장한다.

저자
Z.M. Liu, C.S. Wu, Y.K. Liu,, and Z. Luo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5
권(호)
94()
잡지명
Welding Journal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281~290
분석자
김*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