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리그노셀룰로오스 바이오매스로 바이오에탄올을 생산하는 공업적 기술

전문가 제언

수송용 액체연료는 석유계 휘발유와 디젤유가 주종을 이루는데 이들은 사용과정에서 온실가스를 대기 중으로 대량 배출하는 문제가 있다. 기후변화대책을 위해서는 온실가스 배출에 중립적인 재생에너지로 대체할 필요가 있다. 현재 수송용 대체연료는 바이오에탄올이나 바이오디젤이 이용되고 있는데 모두 식용 곡물을 원료로 하고 있다.

 

식용 곡물을 원료로 재생에너지를 생산하면 식량과 바이오연료가 경쟁할 수밖에 없다. 곡물을 에너지로 전환하면 식량가격을 폭등시켜 가난한 사람들에게 기근을 일으키는 등 도덕적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대한 대책은 비식용의 바이오매스를 원료로 바이오연료를 생산하는 것이지만 이 경우도 에너지작물 재배에 토지를 사용해야 하고 또한 비료 등을 사용하여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남아 있다.

 

가장 좋은 방법은 이 자료에서 제시한 것 같이 식량을 생산하고 남은 농업폐기물에서 액체 연료를 얻는 것이다. 이 자료는 옥수숫대를 원료로 수송용 액체연료를 얻는 방법을 추구하고 있는데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매년 대량으로 발생하고 있는 볏짚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농업폐기물은 리그노셀룰로오스로 되어 있는데 곡물과 달리 바이오에탄올로 전환시키기가 훨씬 어렵다.

 

리그노셀룰로오스 바이오매스 원료의 바이오연료 생산에서 가장 큰 장애는 에너지 밀도가 낮다는 점이다. 이 자료에서는 리그노셀룰로오스 바이오매스의 에탄올 전환과정에 대한 기술적 장애요인과 비용효과적인 생산을 위해 필요한 기술을 상세히 기술하고 있다. 아울러 액체 발효잔여물로 압축 천연가스, 고체 잔여물로 바이오플라스틱 복합재료를 생산하는 방법도 설명하고 있어 좋은 참고자료가 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농림축산식품부의 지원으로 리그노셀룰로스계 바이오에탄올 생산 공정 효율 향상을 위한 청정공정 기반통합 공정개발, 목질계 에탄올 생산을 위한 대량 생산시스템 개발 등의 기술적 연구가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지만 볏짚 이외의 원료 공급방안 등에 대한 대책도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저자
Chen, H., Fu, X.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6
권(호)
57()
잡지명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468~478
분석자
김*설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