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피의 ACCase 저해 제초제에 대한 교차저항성 유형
- 전문가 제언
-
○ 개피(Beckmannia syzigachne)는 중국에서 밀과 유채 밭에 문제가 되는 동계 1년생 화본과 잡초로 광범위하게 발생되며 특히 양자강유역과 남서부지방에 널리 퍼져있다. Fenoxaprop-P-ethyl은 1990년대 이래 화본과 잡초를 선택적으로 방제하기 위하여 광범하게 계속하여 사용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fenoxaprop-P-ethyl에 대한 개피의 감수성이 감소되고 있다.
○ 그러나 저항성이 유전적 배경의 차이 혹은 ACCase 발현수준 때문인지 여부를 연구할 필요성이 있다. 저항성은 두 작용기작, 즉 작용점 저항성(TSR)과 비-작용점 저항성(NTSR)으로부터 주로 발생된다. 작용점 저항성은 보통 제초제 단백질의 친화성을 감소시키는 제초제의 작용점 단백질의 아미노산 치환에 의하여 발현된다. 비-작용점 저항성 기작은 제초제의 침투 혹은 흡수를 감소시키거나 혹은 제초제 분자의 대사적 분해를 증진하여 결과적으로 식물 내에서 표적단백질에 유독한 작용을 방해한다.
○ 개피에서 Ile-1781-Leu, Ile-2041-Asn, Gly-2096-Ala 돌연변이로부터 발현된 작용점 저항성의 교차저항성 유형을 종합적으로 연구되었다. 또한 비-작용점 저항성은 저항성의 표현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입증되었다. 그러나 저항성이 유전적 배경의 차이 혹은 ACCase 발현수준 때문인지 여부를 연구할 필요성이 있다.
○ 우리나라에서는 ACCase 저해제인 fenoxaprop-P-ethyl에 대한 강피의 저항성이 보고되었고, 물피에서 fenoxaprop-P-ethyl 등 제초제에 대한 교차저항성이 보고되었다. 그러나 개피 등 화본과 잡초에 대한 저항성은 보고된 바 없는 실정이지만 제초제 저항성 잡초에 대한 모니터링이 주기적으로 이루어지기를 요망한다.
- 저자
- L. Pan, J. Li, T. Zhang, D. Zhang and L. Y. Dong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5
- 권(호)
- 55()
- 잡지명
- Weed Research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609~620
- 분석자
- 변*영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