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복작물에 의한 잡초억제
- 전문가 제언
-
○ 피복작물(cover crops)은 잡초억제, 토양보호, 개량된 양분순환과 같은 토양 및 농업생태계에 다양한 유익한 효과를 나타낸다. 피복작물에 의한 잡초억제는 공간, 광, 수분 및 양분과 같은 여러 메커니즘에 의하여 일어난다. 추가적으로 토양표면에 피복작물의 잔류물을 여러 층으로 멀칭하면 잡초의 발아, 출아 및 정착을 감소시킨다.
○ 유기농 재배에서는 많은 잡초와 종자가 존재하여 유기농 포장에서는 더 많은 잡초가 발생되므로 높은 수준의 잡초관리가 요구되며, 더욱이 잡초는 경종적, 기계적 방제수단을 회피하거나 혹은 심지어 잡초발생을 촉진할 수 있다. 유기농업 재배에서는 예방적 잡초관리전략은 잡초를 억제하는 작물 윤작을 활용한 기계적 재배가 포함되며, 경종작물에서 직접적인 잡초방제는 여러 종류의 써레질 혹은 제초기기가 포함된다.
○ 피복작물은 복합영농시스템과 유기농 보존경운시스템에서 모두 잡초를 억제하는 유용한 수단이었다. 보존경운시스템에서 잡초관리를 지원하기 위한 건의사항은 입모 정착이 빠르고 토양피복이 좋으며 높은 건물생산을 보이는 지역적응 피복작물을 이용하는 것이다. 유기농재배에서는 일반적으로 주된 작물을 파종하기 전에 피복작물과 잡초를 방제하기 위하여 디스크 써레질과 경운으로 관리한다.
○ 우리나라에서는 친환경 유기농재배에서 잡초관리를 위하여 주로 잡곡을 포함한 밭작물을 중심으로 헤어리베치, 호밀 등 피복작물을 이용하여 잡초방제 연구가 집중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며, 피복작물 이용은 제초경비 절감 및 환경보전 및 안전농산물 생산에 따른 경제적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 저자
- B. Dorn, W. Jossi and M. G. A. Van Der Heijden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5
- 권(호)
- 55()
- 잡지명
- Weed Research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586~597
- 분석자
- 변*영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