웨어러블 기기에 부착 가능한 보조 전자기기
- 전문가 제언
-
○ 보조 전자기기는 휴대용 배터리 팩처럼 스마트워치 같은 웨어러블 전자기기에 부착 가능한 전자기기이다. 이 보조 기기는 하우징과 하우징 내에 전자회로 및 보조 전자기기를 사용자가 착용 중인 웨어러블 기기에 부착하도록 구성된 부착장치 등이 기존의 하드웨어 인프라를 활용할 수 있는 가치가 있다.
○ 전자회로는 웨어러블 전자기기 내에 있는 재충전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하여 전력을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는 전력전송 유닛을 포함한다. 한편 부착장치는 하우징의 반대쪽 끝으로부터 보조 기기의 하우징 위에서 중심 쪽으로 확장되고 웨어러블 전자기기의 대응하는 홈에 맞도록 조정된 한 쌍의 돌기를 갖는다. 이 돌기를 통하여 웨어러블 전자기기와 보조 기기가 밀착되게 설계되어 있어 사용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 이 기술의 핵심은 웨어러블 전자기기에 부착 가능한 충전용 보조 기기의 사양과 보조 전자기기로부터 웨어러블 전자기기 내에 배터리에 전력을 공급하는 무선충전 기술이다. 무선충전 기술은 자기유도 방식과 자기공명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전자는 무선충전기 주변에 자기장을 형성하여 범위 내에 있는 다른 기기의 배터리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이고, 후자는 배터리와 무선충전기에 주파수가 같은 공진코일(resonance coil)을 장착하여 자기장을 형성, 배터리로 전력을 끌어당기게 하는 것이다.
○ 국내 삼성전자를 비롯한 스마트폰 제조사들은 이미 자기유도 방식을 이용한 무선충전기를 개발하여 상용화하고 있다. APPLE에서도 무선충전이 가능한 스마트폰을 출시하고 있다. 애플사에서 출원한 이 기술도 그 정책의 일환으로 볼 수 있어 무선충전 기술은 스마트폰을 비롯한 웨어러블 전자기기에 확산될 것으로 여겨진다. 여기에는 웨어러블 전자기기에 무선충전 방식을 적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환경문제와 웨어러블 보조기기가 사용자에 끼치는 신체상의 문제 및 보조 전자기기의 효율적 사양에 관한 문제 등이 해결할 과제이다.
- 저자
- APPLE INC.
- 자료유형
- 니즈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16
- 권(호)
- WO20160053479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32
- 분석자
- 김*기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