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에 친숙한 뉴턴?공작기계의 설계법
- 전문가 제언
-
○ 신제품개발은 설계자의 사명이며 또 어떤 의미에서는 염원이다. 기업에 있어서도 히트 상품은 단지 이익에만 공헌할 뿐만이 아니라 기업 가치나 브랜드 업으로 경쟁 우위를 구축하는 대단히 중요한 일이다. 예를 들면 3D 프린터를 활용한 새로운 생산기술의 도입, 즉 적층조형(AM: Additive Manufacturing)기술은 다품종 소량생산에 유연히 대응할 수 있는 차세대의 생산시스템의 요소기술로 주목받고 있어 이의 개발은 신 산업혁명으로도 이어지고 있다.
○ 이렇듯 신기술개발은 산업혁명이라는 언어까지 유발할 정도로 진행되고 있는 현실에서 공작기계의 미래는 어떻게 변천 진화해가야 할 것인지에 대하여 진지하게 고민할 시점이 도래하였다. 이를테면 친환경적이면서 경제성을 갖는 공작기계의 개발을 어떻게 할 것인지 이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공작기계가동으로 지구온난화 가스(CO2)방출을 저감시킬 수 있는 냉각액 불사용의 건식가공용 뉴턴?공작기계라 이름 지은 공작기계의 개발이다.
○ 즉 절삭으로 발생되는 절삭 칩(칩)을 중력에 의한 처리법(뉴턴의 만유인력)을 적용 냉각액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폐 냉각액의 소각처리로 발생하는 CO2 배출량을 최저로 삭감할 수 있는 공작기계의 설계 예(뉴턴?선반, 뉴턴?호빙머신, 뉴턴?머시닝센터)를 제시, 3종류의 뉴턴?공작기계의 개념도를 보여주고 있다.
○ 이의 예는 공작기계류 전체의 일부이다. 따라서 현재 주로 습식가공인 가공을 건식가공으로 이행할 수 있는 공작기계의 개발이 시급하며, 이를 위해서는 습식가공기 대체 건식가공기의 도입을 위한 정부의 보조금제도의 설립도 필요하다.
- 저자
- Atsuo WATANABE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16
- 권(호)
- 60(3)
- 잡지명
- 機械設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54~60
- 분석자
- 정*갑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