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차세대에 요구되는 공작기계

전문가 제언

최근 공작기계의 시장요구는 점차 다양화해 가고 있으며, 선진공업국을 중심으로 한 숙련기술자의 고령화나 생산인구의 감소와, 신흥 공업국에서의 작업자 기능부족에 따른 숙련도가 낮은 작업자로도 조작하기 쉬운 공작기계의 요구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이나 스마트공장에 최신의 정보통신기술을 적용한 새로운 생산방식에 대응할 수 있는 공작기계의 니즈는 높아가고 있다. 의료기기나 항공기와 같은 선진산업에서는 5축 가공을 더욱더 고속화, 고정밀도화를 요구, 일반산업이나 소품종 대량생산에서는 더욱 가공시간의 단축과 함께 자동화를 위한 공작기계의 요구가 있다. 이를 배경으로 생산성향상을 목표로 한 고속화, 고정밀화, 시스템화, 복합화, 조작 성 등의 연구로 스무드테크놀로지가 개발되었고, 이것을 복합가공기에 적용한 사례도 있으며, 또 스무드테크놀로지의 일환으로 3D적층조형기술을 융합시킨 하이브리드 복합가공기도 개발되었다.

 

제거가공의 절삭 가공기에 부가가공(AM)을 하는 3D적층기술을 융합함으로써 필요 최소한의 소재로 최근접형상(Near Net Shape)을 만들어 절삭가공으로 높은 정밀도로의 완성가공이 가능하거나, 특히 내열성이나 내마모성, 경량에 고경도가 요구되는 특수금속으로 제조되는 부가가치가 높은 부품을 적은 로트(Lot)에서도 효율 좋은 가공이 가능한 공작기계의 개발이 공작기계의 개발자에게는 대단히 중요한 과제이다.

 

이러한 차세대에 요구되는 공작기계의 설계기술에 대한 고객의 요구와 공작기계 메이커가 대응해야 할 항목들을 조리 있고 알기 쉽게 정리 공작기계 설계자에게는 대단히 중요한 데이터를 제공한 자료가 있어 차세대 공작기계의 설계에 있어 많은 참고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저자
Shinji SHIMIZU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15
권(호)
63(12)
잡지명
機械技術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2~8
분석자
정*갑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