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투명도전성 복합체 필름

전문가 제언

본 발명의 핵심은 폴리에스테르계 기재 수지와 이보다 조금 낮은 융점을 가진 열융착성 공중합 폴리에스테르계 바인딩 수지의 공압출 필름을 제조하고 여기에 습식코팅으로 바인딩 수지층에 일부 침투되도록 나노와이어를 도포하여 내구성이 우수한 투명도전성 복합체 필름을 제작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을 사용하면 나노와이어의 마모 방지를 위한 추가적인 보호층 코팅공정이 필요 없어 내구성이 우수한 투명도전성 유연필름을 제조할 수 있는 매우 경제적인 방법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투명도전성 필름은 유연한 장점이 있지만 기존의 유리제품/ITO(indium tin oxide)에 비하여 내구성 및 상대적으로 높은 열팽창계수에 따른 촌법안정성 문제가 있다. 또한 도전성 나노와이어의 분산에 따른 전도성에도 한계가 있으므로 정밀한 촌법안정성이나 초장기 내구성 그리고 고전기전도도를 요구하는 용도보다는 일반 범용의 저가 전자장치 제조에 적합한 제품이라고 생각된다.

 

본 발명의 필름은 태양전지용 투명전극, EMI 차폐 스크린, 평판 액정디스플레이, 전기발광장치 그리고 PDA나 핸드폰과 같은 전자장치의 터치스크린의 제작에 사용될 수 있는 저가의 성능이 우수한 유연도전성 필름이다. 실용화된다면 국내의 투명도전성 기재(플라스틱 필름, 유리기판) 공급회사(도레이첨단소재, 효성, 한국성전, 코닝정밀소재 등) 및 이 기재를 사용하여 터치스크린 등 전자장치를 생산하는 실 수요업체 (리지스, 대덕지디에스, 이엔에이치, 엘지하우시스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는 성능/가격 면에서 경쟁력이 있는 새로운 투명도전성 기재의 제작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I) 투명도전성 필름을 사용하지 않는 도전성 잉크 등의 프린팅에 의한 터치스크린의 제작방법 개발, ii) 시인성이 더욱 우수한 터치패널을 제작할 수 있는 투명도전성 기재의 개발, iii) 내부식성이 더욱 우수한 나노와이어의 탐색 혹은 부식 방지방법의 개발 등이 국내 관련업체, 연구기관, 학교 등에서 시도되고 있다.

 

저자
Dupont Teijin Films US Ltd., Partnership
자료유형
니즈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6
권(호)
US20160075114
잡지명
US특허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14
분석자
박*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