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컴퓨팅 개발희생에서 수정된 거친 집합 최적화 서비스 매개변수로의 효과적인 서비스 활용
- 전문가 제언
-
○ 클라우드 컴퓨팅은 서비스로서 자원을 배달하는 활동이다. 클라우드 컴퓨팅에서 서비스공급자의 역할을 정하는 것은 클라우드 브로커와 수리공급자의 두 부분으로 나눈다. 클라우드 브로커는 클라우드 플랫폼을 관리하고 사용기반 평가모델로 유지하면서 자원을 대여한다. 수리공급자는 최상위 사용자를 돕기 위하여 한 개 혹은 여러 인프라 공급자로부터 자원을 임차한다. 실행과 압축목적을 제외하고 ROSP(Rough Set Optimization Service Parameter) 반복알고리즘에서 측도의 단위인 네 가지 매개변수(데이터센터, 매개변수, CSP, 사용자)는 동일하다. ROSP에 수학의 거친 집합(rough set) 모델을 이용하여 RROSP(Revised ROSP)를 구성하고 제안하는 ERROSP(Efficient RROSP) 알고리즘을 구성실행 한다.
○ 클라우드 컴퓨팅은 인터넷 서비스에서 데이터 저장과 처리, 네트워크, 콘텐츠 사용 등 ICT 관련 서비스를 한 번에 제공하는 기술이다. 인터넷 접속만 가능하면 고성능 기기가 아니라도 원격으로 정보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을 도입하면 컴퓨터 시스템을 유지, 보수, 관리하는데 들어가는 비용과 서버의 구매 및 설치비용, 소프트웨어 구매비용 등 많은 비용, 시간, 인력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는 외부 서버에 자료를 저장하기 때문에 안전하다. 그러나 서버가 해킹 당할 경우 정보유출이 가능하고 서버에 데이터가 손상되면 백업하지 않은 정보는 복구할 수 없는 단점을 갖는다.
○ ICT 강국으로 인정받고 있는 우리나라의 클라우드 컴퓨팅 국제경쟁력 수준은 한 조사에 따르면 세게 8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시작한지 얼마 안 되지만 상당한 노력의 결과라 하겠다. 우리나라에서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위한 운영연구는 눈에 띠지만 이 문헌과 같이 순수수학인 거친 집합을 이용하여 매개변수간의 관계로부터 효과적인 서비스 관계를 깊이 모색하는 연구의 토양은 없다. 한국차세대컴퓨팅학회와 한국클라우드서비스협의회를 통하여 산?학?연이 이 문헌과 같은 기초기반연구에도 매진해야 할 것이다.
- 저자
- Ashish Tiwari,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15
- 권(호)
- 70()
- 잡지명
- Procedia Computer Scienc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610~617
- 분석자
- 김*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