넓은 색영역의 고휘도 광을 방출하는 새로운 전 무기질 페로브스카이트 나노결정
- 전문가 제언
-
○ 용액가공이 가능하며 저렴한 하이브리드 유기금속 할라이드 페로브스카이트 재료 MA(=CH3NH3)PbI3는 태양전지에서 고 흡광성 재료로 세계를 놀라게 하고 있다. 페로브스카이트 재료는 발광특성도 뛰어나 이의 고휘도 콜로이드 나노결정(=양자점, QD)은 발광다이오드(LED)와 같은 디스플레이 및 조명 그리고 레이저 등에서도 응용연구가 한창이다.
○ 저자들은 태양전지에서와 달리 전체가 무기질인 세슘납 할라이드 페로브스카이트(CsPbX3, X는 Cl, Br 그리고 I 또는 혼합할라이드 시스템 Cl/Br 그리고 Br/I)의 단분산 콜로이드 나노입방체(양자크기 효과가 적용되는 가장자리 길이 4~15nm)를 합성하였다. 이에는 저렴한 상용 전구체를 사용하였고 특성 평가까지를 쉽고 자세하게 소개하고 있다.
○ 페로브스카이트 나노결정(NC, 즉 QD)은 할라이드의 조성 변경 및 양자크기 효과 이용의 두 방법에 의해 띠 간격 에너지와 방출색을 전 가시광 영역에 걸쳐 쉽게 조정할 수 있다. 이 장점은 페로브스카이트 기술이 OLED 이후의 차세대 LED기술이라는 평을 듣게 한다. CsPbX3 NC는 광발광(PL)에서 12~42nm의 좁은 광방출 선폭으로 색 순도가 높고 NTSC 표준을 크게 능가하는 넓은 색 영역 그리고 높은 양자수율(90%)로 특히 청색과 녹색에서 칼코겐 CQD재료보다 성능이 우수하다.
○ 페로브스카이트에는 전 무기질 CsPbX3(X: Br 기본)와 하이브리드 유기금속 MAPbBr3의 두 유형의 재료가 현재 LED를 위해 개발되고 있다. 용액가공 칼코겐화물계 콜로이드 양자점(CQD) 기술도 포함되어 연구 경쟁이 뜨겁다. CsPbX3은 무기질이므로 우수한 내후성이 기대되지만 이 PL 붕괴수명 1~29ns는 하이브리드 MAPbBr3-yCly(y=0.6 ~ 0.75)의 재결합 평균수명(349~446ns)보다 훨씬 짧아 금후의 진보가 흥미롭다.
○ 한국에서 CsPbX3 NC연구는 잘 안보이지만 MAPbI3 태양전지기술에서 세계 톱인 한국화학연구원(석상일, 노준홍 등)은 2013년 MAPb(I1-x Brx)3의 방출색 변화를 보고하였다. CQD LED 연구(2012년 및 2014년)에서 KIST(배완기), 동아대(곽정훈), 서울대(차국헌 등)가 유명하고 MAPb Br3 LED 연구는 포항공대 이태우, 경희대 임상혁 등이 세계 정상이다.
- 저자
- L. Protesescu,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5
- 권(호)
- 15()
- 잡지명
- Nano Letter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3692~3696
- 분석자
- 변*호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