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해상풍력 에너지를 위한 정비물류 조직의 현황과 미래전망

전문가 제언

정비의 물류와 공급체계관리는 해상풍력에너지 산업에서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적절한 정비서비스가 제공되지 않으면 풍력단지 가용성에 악영향을 주어 전력출력과 수익성이 감소한다. 해상풍력 단지를 위한 정비물류의 조직은 지금까지 문헌에서 합리적인 관심을 받아왔다. 이 글의 목적은 해상풍력 에너지에서 최첨단의 정비물류를 검토하는 것이다.

 

전략적, 전술적 및 운영상 3가지 계층의 의사결정을 제안하였다. 전략적 계층은 신뢰성, 위치, 정비 숙박시설 규모, 풍력단지 정비전략의 선택 및 수리 서비스의 아웃소싱을 위한 풍력단지 설계에 관한 결정을 다룬다. 전술적 계층은 예비부품 재고관리, 정비 지원조직, 정비자원의 구매 혹은 임대에 관한 모든 결정을 수용한다. 운영 계층은 정비작업의 일정관리, 선박의 노선 및 정비성과의 측정을 포함한다.

 

해상환경은 풍력터빈의 접근성을 제한하고 육상에서 보다 더 빠른 열화과정을 겪게 되어서 정비물류는 더 도전적이고 값비싸고 에너지 비용의 상당한 점유를 나타낸다. 그러므로 어느 요인들이 터빈의 성능 즉, 가용성, 총 비용 및 수입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식별해서 그들의 영향을 최소화 하는 활동을 취하는 것이 중요하다.

 

헬리콥터, 승무원 이동 선박 및 갑판 승강형 선박을 포함한 O&M 자원을 할당할 가장 비용 효과적인 접근법의 조사가 환경 조건(풍속, 파랑 높이, 파랑 주기), 수송시스템의 운영분석, 실패(종류 및 빈도수) 및 수리의 모사를 포함한 시간 영역 몬테칼로 모사를 통해 달성된다.

 

해상풍력 터빈의 운영 및 정비(O&M: Operation and Maintenance) 비용은 생애 전주기 발전비용의 2035%를 차지한다. 우리나라는 시장 잠재력이 큰 해상풍력 발전기의 수출 상품화 및 해상풍력 강국을 실현하기 위하여 2019년까지 총 10.2조 원을 투자하여 서남 해안에 2.5GW 규모의 해상풍력단지를 개발하고 있다. 이에 대비하여 해상풍력 터빈의 정비물류에 대한 사전의 깊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저자
Mahmood Shafiee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15
권(호)
77()
잡지명
Renewable Energy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182~193
분석자
신*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