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인바 합금의 도금기술

전문가 제언

2011년 일본의 T. Yokoyama 등은 실온 이하의 저온에서 인바합금의 기계적 성질을 검토하였다. 세부적으로는 자기적 포화나 격자정수의 불연속성에 기초하여 극저온에서의 원자거동을 검토한 결과, 양자계산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인바합금의 물성을 조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를 기초로 재료의 손실을 줄여 제조원가 절감에도 기여하고 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2009년 국내에서는 인바합금 및 그 제조방법(KR-1009317390000)의 특허가 등록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인바합금은 물, 염화 제1, 황산니켈, 염화니켈, 염산, 사카린, 나트륨 라우릴 설페이트, 염화칼슘을 포함하는 용액을 전해액으로 사용하여, 전기도금 방식에 의해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상용 인바 합금보다 낮은 열팽창 특성을 갖고,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며, 전해효율이 향상되었다.

 

인바합금의 세부적인 도금액 기본조성은 물 1L, 100g의 염화 제1(FeCl2·4H2O, Ferrous Chloride), 220g의 황산니켈(NiSO4·6H2O, Nickel Sulfate), 120g의 염화니켈(NiCl2·6H2O, Nickel Chloride), 25g의 염산(HCl, Hydrochloric Acid), 2g의 사카린(C7H4NO3SNa, Sodium Saccharin), 0.2g의 나트륨 라우릴 설페이트(C12H25O4SNa, Sodium Lauryl Sulfate), 38g의 염화칼슘(CaCl2, Calcium Chloride)을 포함한다. 상기 인바합금의 전해액 pH0.51.5, 전류밀도는 50100mA/cm2, 4560인 상태에서 전기도금 방식으로 형성하는 기술로 알려졌다.

 

전기도금을 응용한 인바합금도금은 전주도금의 일종으로서 향후 스마트기기의 핵심소재로 각광받고 있다. 인바합금 도금기술은 니켈전주, 합금철, 나노미세 금형기술에 접목시켜 내열금형 재료 개발에 이바지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필자는 20년 전, 반월공단의 태양금속공업(), 코리아써키트 시험분석과에서 이러한 전주금형 기술을 개발한 경험을 보유하고 있다. 향후 일본이나 선진국으로부터 이러한 고가의 전주금형을 수입만 할 게 아니라 중소기업 도금현장을 방문하여 국산 전주기술을 개발하여 수출에 이바지 하고 싶다.

저자
Tomio NAGAYAMA, Takayo YAMAMOTO, Toshihiro NAKAMURA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6
권(호)
67(3)
잡지명
表面技術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140~145
분석자
김*상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