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친환경 냉장고를 위한 기술 개발

전문가 제언

각 가정에서 품보존에 필수적인 가정용 냉장고는 대표적 가전기기로 대부분의 선진 국가에서 높은 보급률을 유지하고 있다. 가정용 냉장고는 현재 전 세계에서 대략 10억 대가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 일단 설치되면 수명이 다할 때까지 연속 운전하는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냉장고가 소비하는 에너지는 각국의 전체 에너지 소비에서 상당한 비율을 차지한다.

 

대부분 증기압축(vapor compression) 방식인 냉장고는 압축기 운전으로 전력소비가 많고, 누출 시 지구환경에 영향을 끼치는 냉매(refrigerant)와 단열재 발포제(foaming agent)를 사용한다. 따라서 에너지 소비를 더욱 줄이고 환경에 유해한 물질을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 이에 따라 설계 최적화를 지원하는 시뮬레이션 모델의 확충과 이를 통해 압축기응축기증발기단열 등 주요 구성요소들의 효율과 성능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국내의 가정용 냉장고는 1970년 전후 국산화가 이뤄졌으며, 1980년대 중반부터의 오존파괴/지구온난화에 대응하여 친환경기술을 개발, 제품에 적용해 왔다. 냉매는 종래의 주력인 R12(CFC: Chloro Fluoro Carbon 계열)1990년대 중반부터는 중간단계인 R134a(HFC: Hydro Fluoro Carbon 계열)로 대체했으며, 1990년대 말에는 저 GWP(지구온난화지수) 냉매인 HC(Hydro Carbon)R600a(이소부탄)로 대부분 전환됐다. 발포제에서도 2000년 이후 R11(CFC) 대신 HC인 사이크로펜탄(cyclopentane)으로 대체되었다.

 

한편 가정용 냉장고의 에너지 절감은 1990년대의 가전제품에너지 소비효율등급제도등에 의한 각사의 에너지 절감 경쟁 심화로 산학연/자체 연구를 통해 크게 진전되었다. 하지만 국내에 있어 냉장고 고효율화 개발의 지속은 화석연료 대부분을 수입해야 하는 국가로서의 에너지 수입 감축과 국가 CO2 배출목표 달성을 위해 필수적이다.

 

저자
J.M. Belman-Flores,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15
권(호)
51()
잡지명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955~968
분석자
이*원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