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성분계 용융염을 사용한 Fe-Al 2성분계 열전변환 재료의 전해제조
- 전문가 제언
-
○ 알루미늄은 철이나 동보다 3분의 1수준으로 가벼워 최근 에너지 절감을 위한 경량화가 요구되는 자동차, 기차, 항공기, 선박 컨테이너 등 수송분야와 고속회전 기계부품에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알루미늄표면은 산화물로 존재하기 때문에 습식회수나 제련공정에 있어서 용융염 전해법이 채용되고 있다.
○ 1821년 Berthier는 프랑스 남부지방의 Baux에서 알루미늄이 많이 함유된 Bauxite를 발견하였다. 이후 1825년 덴마크의 전기화학자 Oersted 는 화학야금 실험에 의해 금속 알루미늄을 분리하였다. 독일의 W?hler는 칼륨으로 알루미늄을 분리 회수하였다. 미국의 Hall, 프랑스의 Heroult가 습식 전해제련법을 발명한 이후, Hall-Heroult법이라 이름 지었다. 1888년 오스트레일리아의 화학자 K. J. Bayer가 고안한 Bayer법은 Bauxite를 원료로 금속 알루미늄을 제련하는 방법으로 고순도의 산화알루미늄을 경제적으로 얻을 수 있는 기술로 알려졌다.
- 저자
- Hiroaki YAMAMOTO, Masao MORISHITA, Kouhei YAMADA, Yuichirou KASHIWAGI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5
- 권(호)
- 66(11)
- 잡지명
- 表面技術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521~526
- 분석자
- 김*상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