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고효율 LED를 만드는 고분자 기질 내 페로브스카이트 나노결정

전문가 제언

유기금속 할라이드 페로브스카이트 MAPbX3(MA=메틸암모늄, X=할라이드) 재료는 용액가공이 가능하고 저렴한 전구체를 사용하므로 디스플레이나 태양전지 등의 광전재료에서 연구 열기가 높다. 태양전지에서와 달리 전기발광(EL)은 전기에너지에서 빛을 얻는 LED의 기본 원리인데 발광층 내에서 전자와 정공이 만나는 발광재결합에 의존한다.

 

현재 페로브스카이트 LED(PeLED)에서 MAPbBr3 발광층의 막 형성 시 기판 위 덮임율 부족은 전기분로(미세기공)를 만들어 EL수율을 낮추는 도전이 되어왔다. 이 글의 저자들은 페로브스카이트와 절연성 폴리이미드전구체(PIP)와의 블렌드(합체)를 광 방출층으로 사용하는 대책을 소개하고 있다. 의외의 큰 성과를 보이는 기술혁신이다.

 

발광성 복합체가 기판 위에 증착되면 작용기가 많은 박막 PIP기질 내에서 페로브스카이트 나노결정이 형성되고 어닐링처리 후 PIP 고분자는 미세기공을 메워 흠 없는 발광층을 만든다. PIP:페로브스카이트 중량비의 최적화는 나노결정 크기를 250nm에서 60nm로 줄이고 휘도를 전압 3.5V 수준에서 105cdm-2 이상으로 증가시킨다. 이 구조는 비발광성 전류손실을 줄이고 외부양자효율(EQE)1.2%로 두 자릿수 넘게 향상한다. 기공으로 고생하는 태양전지에 적용이 검토되기 바란다.

 

MAPbBr3PeLEDEQE 및 전류효율 향상을 위한 광 방출층에서의 전하불균형 해소, 여기자 결합에너지 증대, 안정성 그리고 생산규모 확장성 등 차세대 LED로 가는 길에는 연구과제가 많다. 그러나 같은 양자크기 효과 이용 및 할라이드 조성 변경에 의한 쉬운 색상 변화의 장점을 가진 전 무기질 페로브스카이트(CsPbX3)와의 경쟁은 관심의 대상이다.

 

한국은 페로브스카이트 재료 연구에서 세계 정상이다. 태양전지용 페로브스카이트 효율에서 세계기록(20.1%)과 세계특허의 최다보유에 공헌하고 있는 한국화학연구원(석상일, 노준홍 등), 종합적 선구자이며 결정 안정성 연구 등의 성균관대(박남규, 김희순 등), 태양전지와 MAPb Br3PeLED 개척 연구의 경희대(임상혁, 허진혁 등), PeLED의 세계 톱 EQE 8.53%를 실현한 포항공대(이태우, 조힘찬 등) 등이 자랑스럽다.

저자
G. Li,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5
권(호)
15()
잡지명
Nano Letters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2640~2644
분석자
변*호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