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식물을 활용한 광미 황화합물의 산화방지

전문가 제언

전 세계적으로 자연 복원 기법(: 식물복원 기법, 식물 식재 기법, 황산염 환원 미생물 기법 등)은 광산의 광미 관리를 위해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자연 복원 기법의 하나가 광산 광미 지표면에 식물을 활용하여 시행되는 식물 식재 기법이다. 그 이유는 식물이 바람과 물에 의한 광미 가루의 침식을 효과적으로 제어하고, 광미 폐기 장소의 경관을 향상시기 때문이다.

 

광미에 포함된 황화광물의 산화가 시작되면, 산성 광산 배수(AMD; acid mine drainage)가 발생하면서 황산 때문에 식물을 성공적으로 정착시키기 어렵고, 정착된 식물도 퇴화되거나 상실되기 쉽다. 따라서 효과적인 식물 식재를 위해 광미 황화광물의 산화방지 대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광미 황화광물의 산화는 2가지 산화 메커니즘(화학적 산화, 생물학적 산화), 4 가지 제어인자(온도, 습도, 산소 함량, /황 산화 박테리아 존재량) 등과 관련된다. 황화광물의 산화는 유리산화철 총량 증가, 산소 감소, 수분 함량 감소, 미생물에 의한 1차적 제어 과정을 통해 pH 감소 및 환원황 감소 등을 유발한다.

 

특정 박테리아(: Acidithiobacillus spp., Leptospirillum spp.)광미에서 산화를 촉진하여 산 생성 속도를 증가시키는 유해한 작용을 한다. 그러므로 이들 산화 미생물 활성을 억제하는 작용을 도입하는 해결법 또는 환원 미생물(: Desulfovibrio sp., Desulfuromonas sp.) 활성화 작용을 도입하는 해결법으로 황화광물 산화가 지연될 수 있다.

 

국내 현황 및 향후 연구개발 동향 : 휴폐광산 또는 광미의 황화광물 산화 방지 기술과 관련하여, 2010년에 전남대학교에서 미생물 기법을 활용한 폐광 관리를 연구한 바 있다. 향후에는 금속 황화물을 포함하는 광미가 위치한 지역에 대하여 특산 식물 종을 활용한 산화방지 연구를 시도할 필요성이 있다.

 

저자
Li Y,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6
권(호)
177()
잡지명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53~160
분석자
김*호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