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미국에서 판매되는 으깬고기에서 DNA 분석법을 이용한 육류 종의 식별

전문가 제언

대부분의 식품업체의 성실성 및 소비자 보호와 신뢰에 대한 그들의 책임에도 불구하고, 식품업체의 부정행위는 최근에 많이 알려지고 일반에 많은 주의를 받고 있다. 식품에 대한 부정행위는 고의로 소비자들을 속여 경제적 이득을 취하기 위하여 부정식품을 시장에 내놓는 행위이다. 근래에 있었던 식품 부정행위는 쇠고기 식품에 말고기를 섞는 것, 또는 대개는 다른 저렴한 육류를 섞는 것 같은 행위이다.

 

식품 부정행위의 극단적인 경우가 2008년 중국에서 일어났던 멜라민 사태였다. 우유와 유아 조제우유에 질소 화합물 멜라민을 첨가하여 단백질 양을 속인 것이었다. 단백질 분석에 사용되는 Kjeldahl법은 멜라민의 질소와 아미노산의 질소를 구별하지 못한다. 이로 인해 중국은 전체 약 30만 명의 희생자를 냈고, 신장 손상으로 54천명의 유아가 병원에 입원하였으며 6명의 유아가 사망하였다. 이 사건으로 중국 법정은 2명의 사형, 1명의 집행유예, 3명의 무기징역, 2명의 징역 15년 형을 집행되었다. WHO는 이 사건이 근래에 있었던 가장 큰 식품안전사건 중 하나라고 언급하였다.

 

식품 부정행위는 소비자, 업체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경제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 소비자가 쇠고기를 사기로 의도했는데 자신도 모르게 말고기를 사게 되었다면 이는 값싼 대체물을 비싼 값을 지불하는 결과를 얻게 된 것이다. 부정식품은 또 건강에 위험을 가져올 수도 있다. 부정식품에 대한 관공기관의 통합적인 관리, 무작위 검사 시행의 증가, 강경한 금융 처벌 등이 고의로 부정행위를 시도하는 업체를 억제하는 방법이 될 것이다.

 

이 연구는 미국에서 판매되는 소시지 등 으깬 고기 식품을 대상으로 가축 및 사냥동물 육류의 종류를 동물 분류학적 차원에서, 미토콘드리아의 COI 유전자의 DNA -코딩을 조립하고 BOLD에 대한 서열조회로 조사한 결과 쇠고기 이외에도 다른 여러 동물의 고기가 검출된 결과를 보고한 것이다.

 

저자
Kane, R, E, Hellberg, R, S,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6
권(호)
59()
잡지명
Food Control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158~163
분석자
강*구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