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바이오매스 및 바이오에너지 생산을 위한 한계 토지의 개간-인도의 사례

전문가 제언

전 세계적으로 재생에너지는 전체 에너지소비의 19%에 불과하다. 이중에서 재래식 바이오매스는 9%이다. 인도는 바이오매스 발전소 용량이 전 재생에너지의 12.8%이다. 이 시나리오의 바이오에너지 생산비율이 인도의 현재 및 미래에너지 수요를 충족시키기에 부족하다. 그래서 인도는 바이오에너지 생산을 시급히 확대할 필요가 있다.

 

바이오에너지는 화석연료로부터 배출을 경감시키는 역할을 하는 이외에 여러 가지 환경문제를 완화시키는 잠재력이 있으며 바이오연료의 재배는 토지에 회복기회를 부여한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바이오에너지 생산을 위한 토지확대는 급격히 증가하는 인구의 식량생산 수요 때문에 대단히 제한된다. 그래서 필자들은 한계 토지에서 바이오에너지 생산을 지속적으로 집중할 것을 권고하였다.

 

이런 배경에서 이 논문은 인도의 척박하고 황폐된 토지로부터 바이오에너지 생산을 전망하였다. 인도는 약 39.24백만ha의 황무지가 있어서 이를 이용하면 바이오매스와 바이오에너지를 지속가능하게 생산할 수 있으며 토지의 탄소고정과 생태시스템 서비스를 복원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2015년 상반기에 신재생에너지 분야 3이상급 34개 발전사업 중 바이오매스가 14(41%)을 차지했다. 바이오매스 발전은 2013년부터 붐이 일기 시작했다. 매년 56건에 머물던 바이오매스 사업 허가는 2013년을 기점으로 10건을 기록하며 성장세를 이어왔다.

 

2015년 하반기부터 시작된 신재생에너지 연료혼합의무화(RFS) 사업도 일정수준 이상의 바이오디젤 사용량이 확보되면서 관련 바이오매스업계의 활성화를 위해 측면 지원되고 있다. 신재생에너지 의무량을 이행해야 하는 발전사업자 입장에선 용량이 크고 항시 발전을 통해 공급인증서를 확보할 수 있는 설비를 선호할 수밖에 없으며 따라서 대규모 시장에서 바이오매스 신규사업은 앞으로도 계속해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저자
Sheikh Adil Edrisi, P. C. Abhilash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6
권(호)
54()
잡지명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1537~1551
분석자
이*찬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