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일반 및 안전관리 분야, 안전과학 영역에서의 발전(1970~1979)

전문가 제언

본 기고는 과학안전 영역의 발전에 대한 역사적인 통찰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19세기 후반부터 1970년까지에 걸친 기간을 조사한 이전의 발표에 뒤이은 안전 영역의 지식발전에 대한 시리즈 중 하나이다. 목적은 일반관리 학교 및 안전 연구에 의해 수행된 연구가, 1970 1979년 사이에 안전의 관리와 관련하여 사고 및 재해의 원인에 대하여 무슨 영향을 미쳤는지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더 높은 임금, 엄격한 종사자 선별, 훈련 및 동기부여 프로그램, 처벌 등 어느 것도 입증할만한 효과를 갖지 못하였으며 또는 만일 있다고 하더라도 그것들은 오래가지 못하였다. 해결책으로는 직무충실 추구, 업무의 인간과 조화, 자신들의 업무조직에 걸친 보다 큰 자치권 부여가 제안되었다.

 

안전 영역의 종합적인 특성으로 인해 기능공, 기술자, 심리학자, 사회학자, 인간공학 연구자 및 안전 전문가들이 모두 분야 간의 어려움을 겪었으며 초기에는 지식에 대한 통합이라는 것이 어떠한 형태로도 없었다. 안전관리에 대한 지식이 모양을 갖추기 시작한 1970년대에는 이러한 모든 것들이 바뀌고 상이한 지식으로부터의 모델 및 개념들이 부각되었다. 유감스럽게도 조사된 10년간의 모든 안전 연구는 주요 사고를 제어하기 위한 통찰력을 제시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는 1948년에 내무부에 소방과가 신설된 이후 많은 변화를 거쳐 2014년에 국민안전처가 출범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으며 1970년대 산업화가 활발해지면서 산업안전에 대한 관심 및 조치도 따라서 활발하게 발전하여왔다. 특히 1979년에 미국의 TMI 원자력발전소에서 발생한 노심 용융사고 이후 안전에 대한 기존의 개념에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변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그 후 신뢰도 분석을 바탕으로 한 확률론적 안전성 분석이 원자력발전소의 안전성을 평가하는데 주요한 근거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복합적인 특성의 안전문제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과학적인 근거에 바탕을 둔 기술력의 확보가 중요하며 이를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외국의 발전역사를 살펴보는 것은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보겠다.

저자
Paul Swuste a, Coen van Gulijk, Walter Zwaard, Saul Lemkowitz, Yvette Oostendorp, Jop Groeneweg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6
권(호)
86()
잡지명
Safety Science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10~26
분석자
윤*효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