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핵융합로의 액체 블랭킷 연구현황

전문가 제언

지구상에 인공 태양을 구현하는 것이라고 일컬어지는 핵융합발전을 구체적으로 실현하기 위해서는 핵융합반응에서 발생하는 고에너지의 고속중성자를 열에너지로 변환시켜 전력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경제성 있고 안전한 시스템을 갖추어야 한다.

 

핵융합로의 최초 연료로 공급되어야 하는 트리튬은 자연계에 충분히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핵융합발전을 광범위하게 실현하기 위해서는 핵융합반응에서 발생하는 고속중성자를 리튬과 핵반응시켜 새로운 트리튬을 생산하고 또한 증식시킬 수 있어야 한다. 핵융합로에서 이러한 트리튬의 생산과 증식 역할을 하는 것이 블랭킷(blanket)이다.

 

이 자료는 핵융합에너지의 실용화를 위해 가장 중요한 기기가 되는 블랭킷의 재료로서 리튬, 리튬-납 합금 및 용융염 등을 사용할 경우의 장단점을 비교하고 핵융합로의 블랭킷을 위해 개발해야 할 기술과제들과 관련 연구동향을 요약하고 있다.

 

국제사회가 핵융합로 기술의 공동개발을 위해 처음으로 출범시킨 대규모 국제열핵실험로건조계획(ITER) 프로젝트에는 우리나라도 공동개발국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특히 한미공동연구로 추진되고 있는 리튬-납 블랭킷 연구에서는 헬륨냉각과 함께 SiC 재료를 사용하여 전기적으로 절연된 유로 내를 저속으로 리튬-납 유체로서 순환시켜 냉각시키는 이중냉각방식(Dual Coolant) 블랭킷 개념의 설계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는 국제사회가 차세대 원전으로 공동개발하고 있는 제4세대 원자력시스템 개발계획에도 참여하여 차세대 원전의 후보노형인 소듐냉각고속로, 납 냉각고속로, 용융염 원자로 및 고온가스냉각로 등을 개발하고 있는데 핵융합로의 액체 블랭킷 연구는 이들 원자로의 냉각체제 개발과도 공통점이 있으므로 차세대 원전의 개발성과를 핵융합로 개발에도 반영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는 이러한 국제공동연구를 통해 세계의 차세대 원자력기술 개발에 공헌할 수 있고 또한 국내 원자력기술을 비약적으로 발전시키는 계기가 될 수 있다.

 

저자
T. Tanaka and T. Norimatsu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6
권(호)
92(2)
잡지명
プラズマ核融合學會誌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112~118
분석자
조*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