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해양자원에서 새로운 기능성 식품성분 탐색

전문가 제언

해양은 지구에 존재하는 80%의 생물 종이 생존하고 있는 생물자원의 저장고이다. 이들 해양수산 생태계 생물자원은 무한한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육상생태계 생물자원의 수요한계를 해결하고 대체할 수 있는 유일한 생물자원이다. 특히 해양수산생물은 인류의 식량문제뿐만 아니고 고부가가치 소재로 다양한 분야에 이용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자원이다.

 

최근 수산식품에 대한 식품소비자의 이미지는 매우 좋고 건강효능도 잘 이해하고 있기 때문에 전 세계적으로 그 수요는 증가하고 있다. 이 리뷰에서는 어류, 해양포유류, 조류/곰팡이 등의 오메가-3 지방산, 키토산, 키토산 올리고당, 글루코사민, 카로티노이드와 크산토필, 효소, 단백질가수 분해물, 조류 페놀과 탄수화물, 해양심층 수 등 해양자원 유래 새로운 바이오 활성물질의 건강효과를 요약하였다.

 

국내 해양생물자원에 관한 연구가 일부 수행되고 그 내용은 수산식품가공업의 효율성을 분석(2015)하였고 해양 무척추동물을 활용한 골 조직 재생용 바이오메디컬 소재에 대하여 리뷰 하였다. 한편 연어근육( 2015)과 무지개송어 가공부산물의 품질 특성(2015), 해파리의 식품성분과 이용(2014), 갯바위에서 분리한 미생물의 항균활성(2015), DHA함유 해양미생물 분리(2014) 등 연구논문이 발표되었다.

 

해양생물자원은 어류, 해양포유류, 해조류와 미세조류, 해양미생물 등 매우 다양하다. 이들 생물은 지구상 모든 생물의 먹이사슬이 되고 있으며 매우 중요한 영양원은 물론 건강 기능성식품과 에너지의 원천이 되고 있다.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한국의 경우 해양생물의 생태적 특성과 기능성을 체계적으로 연구하여 미래형 건강식품과 수산 바이오상품을 개발하는 것은 창조경제를 활성화 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일 중의 하나라고 생각되어 더욱 정진하여야 할 것이다.

 

저자
Fereidoon Shahidi and Priyatharini Ambigaipalan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5
권(호)
2()
잡지명
Current Opinion in Food Science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123~129
분석자
민*익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