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거대 펩티드 백신 제작 플랫폼
- 전문가 제언
-
○ 성공적 면역치료를 위해서는 여러 면역계세포들이 여러 차원을 초월한 특이 표현형을 가지는 표적면역반응을 일으키도록 디자인 되어야만 한다. 현재의 합성백신 또는 소단위 백신은 강력한 면역응답 유도를 위해 항원보강제(adjuvant) 첨가가 필요하다. 그러나 adjuvant들은 국부 염증을 유발시켜 그 하류의 복잡한 혼잡을 일으키므로 면역표현형들에 대한 미세조정 능력의 감소를 가져온다.
○ 초거대 조립분자들이 항원보강제(adjuvant)의 감소 또는 제거시킬 수 있게 해주며, 그들의 구성적 조정가능성에 의해 항원결정부(epitope)의 구성과 함량, 다가성, 크기, 투여량 및 소량의 특이 항원보강제의 조합적 조절 등을 통해 면역반응의 세부 조정을 일으키게 해준다.
○ 이 리뷰는 펩티드와 펩티드유도체를 중심으로 한 초거대 조립분자들 백신 사용에 의한 감염질병이나 암 등 효과적 면역치료법이 결여되거나 어려운 분야에서의 백신제작에 관한 미세조정 플랫폼으로 ①펩티드 나노 섬유, ②펩티드-양친매성 실린더형 미셀, ③펩티드 나노 입자 그리고 ④ICMVs(interbilayer-crosslinked multilamellar vesicles)에 대한 개발현황과 그 장점들 및 해결과제들을 소개하고 있다.
○ 연구자들은 여러 도전들에도 불구하고 초거대 분자 조립들이 그들의 서로 다른 항원결정부들, 항원들 그리고 강력한 면역 조정 성분들과의 정밀성을 갖는 우수한 모듈성과 능력 때문에 백신으로 매우 큰 이점들을 가진다고 설명한다. 또한 이와 같은 면역공학적 기술이 여러 질병들에 대해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방어효과들을 달성하기 위한 강력한 도구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 국내에서의 백신제조 분야의 학술적 및 기술적 능력은 국제백신센터 및 국립보건원을 중심으로 세계적 수준에 와 있다. 미래의 백신제작은 이 리뷰에 소개된 것처럼 기존의 백신제작에의 문제점들을 보강한 나노기술 융합에 의한 면역공학적 기술의 응용이 필요하다고 본다. 이 분야 관련자들에게 이 리뷰의 전략을 잘 활용하면 효율적 백신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 저자
- Yi Wen and Joel H Collier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5
- 권(호)
- 35()
- 잡지명
- Current Opinion in Immun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73~79
- 분석자
- 강*성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