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통형 촉매 막 반응기의 화학작용제 분해성능
- 전문가 제언
-
○ 촉매를 사용한 화학작용제 분해반응은 고온의 반응조건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방독면이나 보호의와 같이 개인이 착용하는 화생방 개인보호 장비로 응용 가능성은 희박하다. 따라서 가열장치를 운용할 수 있는 차량이나 집단 대피시설의 화생방 오염공기 정화장치로 응용 가능성을 찾는 연구가 바람직하다.
○ 신경작용제와 같이 인(P)을 함유하거나 수포작용제와 같이 황(S)을 함유한 화합물들의 촉매 분해반응에서는 반응 부산물들에 의한 촉매 피독현상(catalyst poisoning) 그리고 촉매와 담체의 표면화학적 특성과 기공구조(pore structure)의 변화로 분해성능이 크게 저하될 수 있다.
○ 현재 화생방 오염공기 정화장치로 사용되는 활성탄 가스여과기는 흡착방식이기 때문에 여러 종류의 화학작용제들을 비선택적(non-selective)으로 제거할 수 있으나, 촉매 분해반응에서는 화학작용제의 종류에 따라 최적의 촉매물질과 반응조건이 달라질 수 있다.
○ 따라서 유기 인 화합물인 신경작용제 이외의 다른 화학작용제들을 대상으로 한 촉매 분해반응 연구결과들을 종합하여 촉매-막 반응기의 응용 가능성이 검토되어야 하며, 특히 화학작용제의 오염농도가 높은 경우에 분해성능의 저하 정도가 더 심각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해결책들이 강구되어야 한다.
○ 국내에서 Pt/Al2O3 촉매나 광촉매-막 반응기를 공기 중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분해나 난분해성 수질오염물의 분해에 관한 연구사례가 있으나 매우 미흡하다. 국방과학기술 연구 분야에서 여러 종의 화학작용제들을 대상으로 하여 촉매 분해반응 메커니즘과 촉매-막 반응기의 설계 및 운용조건에 관한 기초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 공기 중 화학작용제를 제거하기 위한 보호 장비에 촉매 막 반응기를 단독으로 응용하기 위한 연구보다 이러한 장치를 흡착이나 저온 플라즈마 반응 장치 등과 혼합한 hybrid 시스템으로 응용성을 찾는 방향으로 연구가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저자
- M.M. Yousef Motamedhashemi,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6
- 권(호)
- 268()
- 잡지명
- Catalysis Toda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130~141
- 분석자
- 양*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