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미세 먼지(PM2.5)의 관측, 배출원 식별, 대응책에 관한 최근 동향
- 전문가 제언
-
○ 대기 중 초미세먼지, PM2.5는 인체 건강 뿐 아니라 생태계, 기후, 산업 등 여러 분야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어 PM2.5를 줄이기 위한 대응책들이 강화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PM2.5의 화학적 조성과 물리화학적 특성을 정밀하게 분석하고 배출원(emission sources)을 식별하는 기술들이 뒷받침이 되어야 한다.
○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여러 국가들에서 PM2.5의 관측 망들이 구축되어 있으나 지리적 특성, 기상조건, 인구밀도, 교통량, 산업 활동 등 여러 가지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PM2.5 농도와 물리화학적 특성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관측지점을 늘려서 PM2.5 농도의 시공간적 변화에 관한 데이터들을 세분화시킬 필요가 있다.
○ 국내학계를 중심으로 지역별 PM2.5의 농도변화, 화학적 조성, 인체건강에 미치는 영향들에 관한 연구들이 많이 수행되고 있으나 상대적으로 배출원 할당(source apportionment)에 관한 연구사례가 미흡한 실정이다. 대기 질 개선을 위해서 여러 배출원들의 PM2.5에 기여도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앞으로 이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되어야 한다.
○ 서울의 경우 2차 NO3-와 SO42- 이온 그리고 자동차가 PM2.5에 기여도가 높게 나타난 연구사례가 있어, 이러한 2차 이온들의 생성과정에 관한 연구와 대기 질을 악화시키는 자동차 배기가스를 줄이는 노력이 필요하다.
○ PM2.5 관련 연구에서 구성 성분들의 대기 중 화학적 변화와 생성과정에 관한 연구, 기상조건의 영향에 관한 연구, PM2.5에 포함된 미생물들을 식별해내는 연구 등이 앞으로 각광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 PM2.5의 특성과 여러 분야에 미치는 영향들을 밝혀내는 데 환경, 지구과학, 기상, 화학, 물리, 생물 등 여러 학문분야들 간의 연구협력이 필요하며 PM2.5의 장거리 이동과 이에 따른 물리화학적 특성변화를 파악하기 위한 국제공동 연구도 필요하다.
- 저자
- Chun-Sheng Liang,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6
- 권(호)
- 86()
- 잡지명
- Environment International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150~170
- 분석자
- 양*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