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매스/바이오에너지 생산용 대규모 미세조류 양식에서 용해성 조류 생성물
- 전문가 제언
-
○ 오늘날 미세조류에서 얻은 바이오에너지가 비재생 에너지를 대체할 수 있는 잠재재로 각광을 받고 있다. 그러나 미세조류 세포는 미세조류 바이오매스 배양 기간에 용해성 조류 생성물(SAPs: soluble algal products)을 배양액에 배출한다. 바이오매스/바이오에너지를 위한 미세조류의 대규모 배양에서 SAPs의 부정적인 영향에 관한 연구가 아직 충분하지 않다.
○ 이 문헌에서는 SAPs의 나쁜 영향, 특성, 생산 및 처리를 조사하고 요약하였다. SAPs는 미세조류 성장을 억제하고, 미세조류 회수 비용을 상승시키고, 미세조류 배양 후의 물 처리 공정 성능을 떨어트린다. SAPs는 용존 유기 탄소(DOC: dissolved organic carbon)로 70mg/L까지 생성되며 환경 문제를 야기시킨다. SAPs의 화학적 성질은 미세조류의 종, 성장 단계 및 영양 농도에 따라 크게 차이가 난다.
○ SAPs의 분자량은 1kDa로부터 100kDa까지 범위가 넓으나, 친수성/소수성 비율은 일정하다. SAPs 처리 방법 중에 생분해 방법이 가능하며 경제적으로 SAPs를 제거할 수 있다. SAPs 생성 메커니즘과 이들의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을 제거하는 공정이 아직까지 명확하지 않다. 그래서 체계적이며 심도 있는 연구가 요구된다.
○ 미세조류는 육상생물에 비해 연간 성장률이 20∼100배 높을 뿐만 아니라 고부가가치 DHA·EPA 등 고도불포화지방산, 아스타잔틴(astaxantin), 푸코잔틴(fucoxanthin)과 같은 천연색소를 다량 함유하고 있어 어패류 종묘 생산용 먹이생물은 물론 화장품 및 의약품, 건강보조식품 등 활용도가 높다. 우리나라의 경우, 미세조류 전문 업체 엔엘피에서 화력발전소에서 대량 배출되는 이산화탄소와 축산 폐수를 이용한 미세조류 대량 배양 시스템 구축을 위한 연구과제(차세대 바이오매스연구단 과제: 2012년 9월~2015년 8월)를 수행한 바 있다.
- 저자
- Lin-Lan Zhuang,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16
- 권(호)
- 59()
- 잡지명
-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141~148
- 분석자
- 이*찬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