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습도의 건강과 대기질에 대한 영향

전문가 제언

지금과 같은 온난화가 계속되면 2050년 한국의 연평균 폭염 사망자 수는 지금(10/)13배로 증가할 것이다(2014,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열에 취약한 노령인구의 급증을 감안한 온열대책과 예방을 위해서 폭염과 온열 사망자의 정확한 통계자료가 필요하므로 의료기관의 진료자료와 기상관측자료의 정확한 통합관리가 요망된다.

 

열 스트레스의 평가와 예방에 현재 사용하고 있는 불쾌지수(CI), 열지수(HI), 습구 흑구 온도 지수(WBGT) 등은 기상요소만 고려한 것으로 2005년부터 신체의 생리학적 요소와 의류 등 특성 요소를 기후 요소와 결합시킨 생명기상모델(MENEX)이 개발되어 작업 체감온도(PST), 작업 열 스트레스(PhS) 지수 등으로 정확한 평가를 시도하고 있다. 우리도 2014년 부산지역 열 환경 예측에 이용하였고 연구를 확대하고 있다.

 

원문은 1965년부터 50년간 건강과 대기질에 대한 습도와 온도의 영향관련 논문을 검토한 것으로, 여러 습도 변수(RH, 비습도, 혼합비 등)의 시간적 계절적 변화와 심장혈관계와 호흡기 질환 등에 대한 영향과 대기 오염물의 질병에 대한 습도의 긍정/부정적 영향을 상세하게 분석한 것으로 변화하는 습도 변수의 선택과 이용에 도움이 될 것이다.

 

미국은 2000-2010년 기상 재해 사망자 약 2,000명 중 31%는 폭염 질환, 63%는 혹한, 6%는 홍수 관련 등이었다. 호주는 20081, 2월 일평균 폭염 사망자가 86명이었으나 20091, 2월에는 40이상 고온으로 155명으로 2배나 증가하였다. WHO2030-2050에는 평균 25만 명/년이 폭염, 말라리아, 설사와 영양부족으로 사망할 것을 예측하고 적극적인 온난화대책의 실현을 촉구하고 있다.

 

습도가 높아지면 시정이 나빠지며, PM2.5 농도가 80/이상에서 R H10% 상승하면 시정은 평균 13.8%(5.2-40.0%) 감소되며, PM2.5의 시정 감소 영향은 SO , CO 등 기체보다 10배 정도 높다. PM2.5은 천식, 호흡기 감염 등 질병에도 심각한 영향을 준다. PM2.5 농도 예보 때 상대 습도의 동시 예보가 바람직하다(상대 습도는 항상 예보함).

저자
Robert E. Davis, GIenn R. McGregor, Kyle B. Enfield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6
권(호)
144()
잡지명
Environmental Research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06~116
분석자
박*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