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사람과 장내 미생물총의 상호작용을 이용한 난치병 치료

전문가 제언

이미 오래 전에 한의학에서는 사람 체형을 태양인 등으로 분류하는 고유한 의학 체계를 도입하였다. 이러한 사람 체형의 분류는 질병 치료와 함께 인체를 이해하는 데에 있어 그 당시의 생물학 개념과 관련 기술로는 획기적인 발상으로 생각된다. 이와 비슷하게 미생물을 기반으로 사람 체형을 분류하려는 시도가 이뤄지고 있다. 즉 사람이 갖고 있는 미생물의 특성에 따라서 체형을 3종류로 분류하고 있다.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사람 몸을 구성하는 세포들의 90% 이상은 각종 미생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사람 세포 이외의 세포들이 사람의 건강과 질병 등에 미치는 영향은 대단히 커서 이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특히 이들 미생물에 대한 연구는 차세대 유전자서열분석(next generation sequencing) 기술과 omics와 같은 관련 최신기술들의 발전으로 새로운 식견(insight)을 갖도록 하고 있다. 새로운 기술의 도입으로 장내 미생물에 대한 이해가 차원을 달리하고 있다.

 

(intestine) 미생물의 생태계를 구성하는 미생물총(microbiota)3개 유형으로 나눠지며, 이에 따라 비만을 비롯한 체형의 형성, 특히 질환에 대한 저항성 등이 결정된다는 것이다. 이제까지는 하나 혹은 수십 종의 미생물을 각종 형태로 섭취하는 개념을 활용해 오고 있으나 이 개념이 크게 변화하고 있다. 즉 새로운 방법은 장내 미생물총의 교체, 합성분변으로 대체, 새로운 균종의 개발 등으로 추진되고 있다. 또한 여러 면에서 확보하기 어려운 프로바이오틱스의 섭취보다는 개인에 적합한 맞춤형 프리바이오틱스 선택을 주시하고 있다.

 

Grand View Research사의 전망에 의하면 프로바이오틱스의 세계 시장은 2020년까지 52조 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러한 시장 규모는 신기술의 발전에 따라서 체형의 변화, 당뇨병, 신경성 대장질환 치유 등 이용으로 확산되어 더 증대될 수 있다. 장내 미생물총의 관리 기술은 전자 기술과는 다르게 미국 기술이 우리에게 바로 이용될 수 없다. 따라서 우리 국민에 고유한 미생물총 구성 및 음식문화와 생활환경 등에 따른 특이성에 바탕을 둔 해결이 필요하다.

저자
Ingmar JJ Claes, Cynthia E Vargas Garcı´a 및 Sarah Lebeer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5
권(호)
32()
잡지명
Current Opinion in Biotechn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28~34
분석자
신*오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