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방사성 요오드 포집·고정화 재료 및 공정

전문가 제언

핵연료 재처리 및 핵 사고에서 방출되는 방사성 129I는 매우 긴 반감기(t1/2 =1.6 x 107 y)로 인해 지층처분 성능평가에서 가장 큰 선량인자중의 하나로 간주되고 있다. 본문은 처분 기간 동안 안전한 처분을 위해 방사성 요오드의 포집, 처리 및 고정화 기술로 폐기물 형태를 만들어 처분 경로 선택에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사용후핵연료 재처리 중에 발생하는 배기체 중에 방사성 요오드를 포집하는 기술로 습식 세정법으로 가성세정과 산성 세정이 논의되었고, 고형 흡착제로는 금속교환 세라믹, -작용기 실리카 에어로젤, -산화물 칼코겐-바탕 에어로젤, 금속-유기물 구조물 등이 제시되었다.

 

포집된 요오드를 폐기물 형태로 전환하는 물질 및 기술들로는 고정화 방법이, 물질로는 유리, 유리 세라믹, 세라믹 복합물, 시멘트, 무기 광물 및 세라믹 등이 토의되었다.

 

우리나라의 방사성폐기물은 주로 원자력발전소 운영 폐기물과 발전소이외(원자력연구원, 원자력연료, RI 폐기물)에서 발생하는 폐기물들로 발생자가 처리하여 경주 폐기물 처분장으로 보내게 되어있다. 2014년 말 기준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저장량은 약 129,000 드럼이다.

 

방사성폐기물 처리는 폐기물 상태에 따라 분류하여 소각 후 고체화하고 압축하여 감용한 후 드럼에 밀봉 포장한다. 또 효율적 처리를 위한 유리화 공정도 개발되었다. 장반감기 요오드 폐기물 또는 염 폐기물 처리를 위한 은 함유 제올라이트 계열 흡착제에 대한 연구도 진행되었다.

 

사용후핵연료 재처리에서 발생하는 방사성폐기물 중의 129I 같이 반감기가 긴 방사성 핵종은 지층처분 전에 포집하여 고정화 기술로 폐기물 형태로 고정화하는 기술 경로를 처분장 환경 특성을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 처분 안전성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저자
Brian J. Riley, John D. Viennaa, Denis M. Strachan, John S. McCloy, James L. Jerden Jr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6
권(호)
470()
잡지명
Journal of Nuclear Materials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307~326
분석자
박*화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